이야기는 힘이 세다 - 김시습의 금오신화 1218 보물창고 23
강숙인 지음, 김시습 원작 / 보물창고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시대 천재로 유명한 정약용은 과학부터 농사, 어업까지 넓은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책을 낸 것으로 유명하다. 귀양지에서 쓴 책이 거의 많다고 하니 얼마나 부지런히 썼을지 상상이 된다. 과학적이고 설명가능한 현상을 쓴 책들은 전문적인 정리와 분류의 능력이 필요하지만, 사회상을 알리기 위해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은 상상력이 필요하다. 김시습은 깊이있는 전문 분야의 책은 아니지만, 환타지같은 '금오신화'를 통해 사회상을 알리기 위해 애쓴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세조의 왕위찬탈의 부당함을 빗대어 이야기 한 금오신화가 '이야기는 힘이 세다'에 적합하지 않을까 싶다.

 

 

5세 때부터 시를 짓는 신동으로 김오세라는 별명을 받을 만큼 장래가 촉망되던 김시습은 우리나라 최초의 전기체 소설 금오신화를 펴낸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벼슬길을 단념하고 승려가 되어 한반도 이곳저곳을 방랑한 뒤 다섯편의 이야기를 썼는데, 그것이 바로 금오신화라고 한다. '다섯편의 이야기를 김시습은 어떤 마음으로 썼을까?'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주는 이 책은 금오신화보다는 김시습의 이야기라고 보면 더 정확할듯 하다.

 

 

우리나라 전래문학을 보면, 사회상을 알리기 위해 애쓴 것을 알 수 있다. 홍길동전, 심청전, 양반전 등 읽는 이에게 사회의 부조리를 간접적으로 알리는 내용이 주제이다. 지은이를 알 수 없는 이야기들도 마찬가지이다. 김시습이 세조의 왕위 찬탈과 단종의 억울함을 자신이 창작한 금오신화에 빗대어 제자인 선행에게 가르침을 주는 과정을 담아내었다. 수업은 자신이 쓴 책을 한권씩 선행에게 던져주고 책의 첫 문장으로 이야기의 시작을 알려준다. 금오신화는 김시습이 왕위 찬탈의 부당함을 알리기 위해 쓴 책임을 알려주기 위해 저자는 '이야기는 힘이 세다'라는 제목으로 금오신화의 해설을 하고 있다.

 

김시습의 금오신화는 작품마다 비범한 인물이 등장하여 사건을 이끌어 나간다. 이 이야기들은 이승과 저승을 넘나들며 기이하고 독특해 어찌보면 선녀와 나뭇꾼처럼 한낱 이야기에 불과한듯 보인다. 다섯개의 각 이야기 뒤에 제자 선행이 읽은 내용을 시험하듯 승려 김시습과의 대화로 이어지며, 승려 김시습이 가르침을 주면서 각각의 기이하고 독특한 이야기가 한낱 재미난 환타지같은 이야기가 아니라 역사적인 사건에 대한 비판과 통찰을 담고 있는 이야기의 힘을 보여준다.

 

 

만복사저포기 양생, 만복사에서 저포놀이를 하다. 

첫 수업 

이생규장전 이생, 담 안을 엿보다. 

두 번째 수업 

취유부벽정기 홍생, 흥에 취해 부벽정에서 노닐다. 

세 번째 수업 

남염부주지 박생, 염라대왕과 독대하다. 

네 번째 수업 

용궁부연록 한생, 용궁잔치에 초대되다. 

마지막 수업

 

 

이 책은 청소년들이 다섯편의 이야기와 다섯번의 수업에서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써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과 이야기에 역사적인 사건이 녹아들어있음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