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 마그리트의 연인 1
유지나 지음 / 팩토리나인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뇌 과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범죄자들의 공통된 특징은 공감능력이 떨어진다는 점이라고 한다. 타인에 대한 공감능력이 높은 사람일수록 어떤 과업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고들 한다. 그래서, 4차산업혁명시대에는 소통, 배려, 공감이 최우선이란 말이 나오기도 한다.

어느 뇌 과학자가 밝혀낸 바로는 자신의 뇌가 연쇄살인자 뇌와 비슷하다고 한다. 그 뇌 과학자는 환경보다는 뇌의 구조로 인격이 형성된다고 연구를 하다가, 자신이 살인자가 아닌 뇌 과학자가 된 것은 환경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고 한다. 자신의 부족한 공감 능력을 미리 알고 계셨던 부모님께서 끊임없이 공감능력 향상을 위해 자신을 이끌어주신 덕분이라는 것을 알게된 그 뇌 과학자는 자신이 주장하던 이론을 접어야 하는 상황이 된 것이다.

이 책의 주인공 수현과 희주는 그렇게 중요한 성장 환경에 있어서 결핍된 사람들이다. 수현은 보육원에서 누나와 살다 여러가지 악재로 살수가 되어버렸다. 희주는 엘리트 아빠와 미술가 엄마 사이에서 성장했지만, 엄마의 죽음과 아빠의 재혼, 원치않은 유학과 유학 시절 만난 첫사랑의 배신 등의 악재로 미술상담치료사이지만 불안정한 상태의 결핍을 보인다.

살수인 수현의 부하 창진에게 수현의 누나와 수현에 대한 의뢰를 하게되는 희주.

갑작스런 실신에 들른 병원에서 백혈병 진단을 받은 수현은 자신이 괴물이므로 이젠 죽을때가 된거라는 생각에 치료를 거부하게 되고, 의사는 그런 수현을 치료받게 하기 위해 미술상담을 추천한다.

두 결핍된 존재가 희주의 미술상담소에서 만나게 되고 미술상담이 시작되는데 그 미술상담 이야기만 해도 이 책은 흥미롭다. 아이들 미술치료에만 쓰이는 것으로 알았던 내게도 아주 흥미로운 이야기였다.

첫번째는 사람- 집- 나무를 그리게 하고, 내담자가 그린 그림을 보면서 이야기를 풀어가는 장면에서 삽화가 나오고 더 사실적으로 이야기를 이해하게 되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가면으로 자신의 이중성을 그리게하고, 색으로 표현하게 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것은 한지를 여러겹 덮어가며 지우는 방식으로 치유의 과정을 갖게 했다. 이 책은 상담에 관심있는 이들에게도 좋을 내용이었다.

수현을 따르는 창진, 수현을 억합하는 상기, 희주와 절친 선미, 형사 우성 이들의 이야기가 1권에선 소개된다고 보면 된다. 2권에서 어떻게 이들의 관계가 얽힐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