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 ‘나’라는 물음 끝에 다시 던져진 질문 플라톤 아카데미 총서
권수영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6년 5월
평점 :
품절




같은 땅에 태어났어도 그들이 보이는 행동을 도무지 이해하지 못할 때가 종종 있다. 같은 한국 사람이라도 "저 사람은 왜 저러나?" 싶을 때가 있다는 얘기다. 한국인에게 나타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정이 많다고 한다. 정이 많기 때문에 감수성이 풍부하고 감정으로 치우치기도 한다. 그래서 쉽게 분노감정을 표출시키고 자신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한다. 너와 내가 아닌 우리라는 감정이 지배적이라 서로 모르는 사이여도 금새 친해지기도 하고 동질감을 느낀다. 화를 참지 못하는 것만큼이나 한이 많은 민족이기도 하다. 그만큼 억울한 일을 많이 당해왔고 누구에게 하소연 할 길 없이 힘없는 민초들은 희생양이 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지리적으로 삼면이 바다인 지형에서 살고 사계절을 모두 누릴 수 있는 기후조건이라 적응력이 뛰어나다. 한국인은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우리의 태생적 근원을 찾아가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 책을 읽으면서도 순간순간 공감도 많이 되었고 8가지 인문학적인 고찰과 각 분야의 지성인들이 분석한 걸 보면 또 나는 영락없는 한국인임을 새삼 확인하게 되었다. 우리가 월드컵 때 온 거리로 뛰쳐나가 목 놓아 응원하고 골을 넣었을 때 모르는 사람끼리 얼싸안고 흥분을 주체하지 못했던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인지도 모른다. 유독 국가끼리 맞붙는 시합에서 보이는 남다른 애국심은 국민이 서로 똘똘 뭉치는 힘이기도 하다.


이것은 바로 한국에서 태어나고 자라면서 가족 내에서 부모님과 친척들로 예절 교육을 받고 학교에서도 동급생끼리 어울리면서 자연스레 몸 안으로 내재화된 것이다. 이렇게 주변 환경으로부터 한국 문화를 학습받고 어울려지내는 과정 속에서 한국인만의 정체성을 확립시켜 나간다. 우린 오랫동안 공동체를 갖고 있었다. 경사스런 일이든 힘든 일이든 이웃과 함께 나누었고 연대감을 형성시키는 지역 문화를 갖고 있었다. 급격한 산업화과 근대화로 인해 점점 공동체는 무너지고 지역 이기주의와 천민 자본주의가 급속도로 퍼져나가면서 서로 나누고 지낸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놓여있다.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근대문물이 들어오면서 한국인의 생활습관과 습성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 짧은 시기에 강제적인 근대화가 이뤄지다보니 많은 부작용을 낳고 보신주의와 한탕주의가 판을 치게 된다. 아마 조선시대의 한국인과 지금의 한국인은 많이 다를 것이다. 시대적 조류는 민족성에도 큰 영향을 주고 대를 이어 학습되기 때문이다. 같은 한국인이라도 좋은 점만 있을 수는 없다. 지금까지 한국인에 관한 많은 책들에서도 지적되었지만 질서의식, 법 준수는 아직도 선진국으로 가기엔 걸림돌이다. '우리가 남이가?' 정신이 끊임없는 부패를 낳고 도덕과 양심을 희미하게 가린다. 


이 책은 한국인을 이해하기 위해 다각도로 파고든 의미있는 책이었다. 정치, 역사, 교육, 사회, 종교를 아우르며 누구나 이해하기 쉽도록 씌여져서 재미 또한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의 한국인이 있기까지 다양한 관점에서 다뤘고 한민족이라는 이데올로기가 타 민족에게 배타성을 띄는 위험한 요소임도 알게 되었다. 해방 후 짧은 시기에 이만큼의 경제성장을 이뤘음에도 정당한 룰이 깨진 상황에서 구축되었기에 앞으로도 그 휴유증과 악순환의 고리는 한동안 이어질 것 같다. 지금 세대가 한국인의 패러다임을 바꾸고 더 좋은 국가와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 날이 올지 모르겠지만 헬조선이 아닌 21세기를 이끌어갈 국가로 거듭나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