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슬 - 우리는 왜 우리의 몸을 사랑해야 하는가
보니 추이 지음, 정미진 옮김 / 흐름출판 / 2025년 9월
평점 :

※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쓴 후기입니다.
힘을 써야 할 때 힘을 쓰지 못한다면 일상생활은 고통의 연속일 것이다. 매일 조금씩이라도 운동을 하는 것과 전혀 하지 않는 것과는 그 차이가 극명했다. 운동을 등한시했을 때는 잠시 외출했다 돌아오면 피곤함이 몰려온 반면 운동을 시작하고부터는 피로가 회복되는 속도나 몸에 힘이 들어가는 부분이 확연하게 달라진 것을 느낄 수 있었다. 힘, 형태, 행동, 유연성, 지구력으로 파트를 구분 지은 이 책은 근육이 우리 몸에 왜 필요하며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를 논픽션으로 여러 사례들을 탐구하며 풀어가고 있다. 실제 운동을 해서 변화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보니 바로 공감이 되고 지금 하고 있는 운동도 꾸준히 해야 될 필요성도 느꼈다. 우리 몸이 각자 제 기능을 하고 유지가 되려면 유산소와 근력 운동을 하며 가동되고 있음을 인지시켜야 한다.
"근육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똑똑하다. 각자 다른 세상을 갖고 있고 기억력도 있다. 근육이 변화하고 성장하면, 다른 신체 기관에도 같은 변화를 일으킨다. 근육은 복잡하다."
우리 몸을 사랑한다는 건 아마도 내버려두고 방치하는 것이 아닌 관심을 갖고 지켜보면서 부족한 부분은 채우고 혹시라도 잘못되지는 않을까 신경을 쓴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래서 실제 사례를 들어 이야기하는 이 책을 통해 근육이라는 존재가 일상의 기쁨으로 연결되는 통로라는 말의 뜻이 와닿는 이유이다. 핸드북 형태의 판형으로 된 책인데다 어디서든 가볍게 읽어볼 만하다. 바쁘다는 핑계로 아니면 귀찮다는 이유 때문에 몸을 가꾸는 것조차 소홀히 여겼다면 자극제가 될 것이다. 살아있는 동안 아무 탈 없이 건강하게 살아간다는 것은 축복이자 행운이다. 하지만 아무런 노력도 하지 않는데 저절로 얻어지지 않는다는 건 우린 누가 말해주지 않아도 너무나도 잘 알고 있다. 건강을 잃은 후에 후회해 봐야 소용없으니 첫걸음부터 내디뎌야 한다.
"우리는 모두 부상이나 질병, 오랜 휴식을 거친 후 어떻게 원래의 몸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을지 알고 싶어 한다. 근육은 환경에 반응해 적응한다. 즉, 운동하면 커지고 멈추면 줄어든다. 하지만 근육이 성장하는 방법을 기억하게 할 수 있다면 어떨까?"
이 책을 읽다 보면 우리 몸을 잘 이해하고 싶어 하는 부분이 읽힌다. 오랫동안 운동을 해왔던 선수든 아니면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달리기부터 시작한 사람이든 운동에 대한 필요성만큼이나 제대로 알고 하면 훨씬 더 효과적으로 근육을 발달시키는데 초점을 맞춰서 하게 되지 않을까 싶다. 무엇보다 일단 자신의 몸 상태에 맞게 시작해서 점차 강도를 늘려가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 몸이 더 자극을 받아 단단해지고 불쑥불쑥 힘이 생겨나는 것이 느껴진다. 각각의 주제에 따라 그들이 하는 이야기의 공통점은 운동을 시작한부터 자신의 삶이 조금씩이라도 나아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상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몸에서 에너지가 넘쳐흐르고 그것이 곧 일상생활을 행복하게 해준다고 한다. 이것이 바로 우리의 몸을 사랑해야 이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