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 어떻게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았나
데이비드 로버트슨.빌 브린 지음, 김태훈 옮김 / 해냄 / 2016년 3월
평점 :
품절




레고는 1932년 빌룬에서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안센이 창업을 한 회사로 'leg godt(잘 놀아요)'의 두 글자를 조합한 핵심 가치관을 심었고 1934년 사명을 레고로 짓게 된다. 초반에는 나무 장난감을 위주로 제작을 하였는데 1946년 플라스틱 사출 성형기를 도입한 이후 올레 키르크와 고트프레드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반복하면서 1958년 플라스틱 블록의 결속력을 해결하여 마침내 아이들의 끊임없는 상상력을 자극시키는 오늘날과 같은 레고 블럭이 탄생하기에 이르렀다. 레고 블럭의 장점은 호환성이 매우 뛰어나서 상상력을 확장시키는 데 있어서 혁신적인 장난감이라는 것이다. 고트프레드는 5가지 원칙을 세우게 되는데 장난감의 재구매율을 높이고 대량생산과 판매가 가능한 놀이기구를 만드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 그 원칙은 1. 작지만 상상력을 제한하지 않는 크기, 2. 합당한 가격, 3. 단순하고 튼튼하며 풍부한 변화를 제공하는 제품, 4.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그리고 전 연령대에 재미를 주는 제품, 5. 유통하기 용이한 형태이다. 


레고 블럭은 내게 특별한 장난감이었다. 그리 넉넉치 않은 살림살이였지만 기본적인 레고 블럭만으로 수십가지 조합을 하면서 즐겼던 기억이 생생하다. 자동차 장난감이 없어도 레고 블럭으로 자동차를 만들기도 하고 집은 갖고 있지만 않지만 시간과 정성을 들여 집을 만들곤 했다. 레고 블럭은 창의력과 집중력 그리고 상상력을 키우기에 매우 적합한 놀이다. 레고 블럭 간의 호환성과 뛰어난 결속력은 무엇이든 만들 수 있는 매개체가 되어주었고 하루종일 조합하고 부수고 다시 만들어도 질리지 않았던 마성의 장난감이었다. 가격 대비 효율성이 가장 뛰어나다고 생각하는데 몬드리안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은 밝은 색상은 장난감에 주목하기 좋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작년 봄에 들른 전시회에서 만난 레고블럭은 상상 그 이상이었다. 수십만개의 블럭으로 못 만들어내는 것이 없다는 듯 스타워즈와 같은 영화 속 장면을 재현해내기도 하고 에펠탑이나 광장, 정글, 성도 레고 안에서는 불가능이 없어 보였다.


<레고 어떻게 무너진 블록을 다시 쌓았나>는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브랜드를 만들어내기까지 레고의 경영철학과 원칙을 배울 수 있는 책이다. 80년여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오랜 전통을 가졌지만 이들은 끊임없는 혁신을 이뤘고 3대에 걸친 친족 기업임에도 그들이 레고라는 기업에 갖고 있는 확고한 신념과 애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98년에서 2003년 간은 레고에게 큰 재정 위기가 닥친 시기였는데 이들이 극복할 수 있는 계기는 고객과의 소통이었다. 레고에 애정을 가진 열혈 고객들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고 지속적인 대화로 의견을 청취함으로써 내부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살피고 나아갈 방향을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 기업들도 되새겨 봐야 할 점이다. 고객들은 늘 A/S 문제가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구매 후에는 나몰라라는 식으로 배짱영업을 하기 때문에 신뢰를 하지 못하는 것이다. 소비자의 문제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해결책을 도모해야 할 책임은 기업에 있지만 성의있는 A/S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레고는 흔히 레고 블럭만 만드는 장난감 회사로 인식하기 쉬운데 전혀 모르던 제품들을 출시했다는 점이 신기했다. 2006년 라스베이거스 소비자기전쇼에 선보였던 마인드스톰 NXT 로봇이라든가 레고 주사위, 벌레 로봇 종족 보록, 바이오니클인 고라스트인데 대부분 고객들의 의견을 많이 반영하려 했고 레고 팬들에 대한 서비스와 행사도 빼놓을 수 없다. 이렇게 적극적으로 고객들의 수용하는 기업으로 거듭나면서 지금은 엄청난 매출을 올리는 기업이 되었다. "바로 위기가 근본적이고 전반적인 변화를 촉구할 때까지 기다리지 말라는 것이다. 지속적 혁신은 배우고 적응하는 조직의 능력에서 나와야 한다." 폐쇄적이고 소통하지 않는 기업문화를 가진 조직에서는 빠르게 시장에 적응하는 유기적인 조직이 될 수 없다.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시장에서 경쟁력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배워야 할 점이 많은 레고 그룹의 혁신 스토리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