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자의 글쓰기
정숙영 지음 / 예담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 일이 다 그렇듯 겉으로 봐선 모른다. 만일 전업작가로 일할 때 겪는 많은 일들은 작가라는 타이틀에 가려 다 좋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 취미는 즐기기만 하면 되는데 그 취미가 직업이 되버릴 때는 다른 이야기들이 펼쳐진다. 내게도 하나의 낭만과도 같은 직업을 꼽으라면 여행작가가 있다. 미지의 세계로 여행을 자유롭게 다니면서 글도 쓰고 사진도 찍으면서 책까지 낼 수 있다니 이보다 더 좋을 수 있을까? 여행이라는 마법과도 같은 단어로 젊음, 청춘, 자유, 즐거움이 모두 함축되어 있다. 일상 속에서 단지 여행 계획을 세우는 것만으로도 가슴 설레이기까지 한다. 여행작가가 되기 위한 재능 중 체력만 제외하면 내게 딱 맞는 직업이다. 출사나 팸투어를 다니고 리뷰를 남기며 사진촬영도 꽤 좋아한다. 이러저러한 사정으로 <여행자의 글쓰기>라는 책은 내 눈길을 사로잡았고 작가의 솔직담백한 여행작가의 세계를 볼 수 있어서 더 좋았다. 


<여행자의 글쓰기>는 확실히 한 권의 책을 쓰고자 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알찬 꿀팁들이 많다. 글쓰기 훈련을 위한 몇 가지 팁도 반복해서 연습하다보면 좋은 문장을 어떻게 구성해야 할 지 감을 잡을 수 있을 듯 싶다. 목차를 만들고 문법에 맞는 잘 된 문장을 만드는 등 작가로 도전하려는 사람이나 글을 잘 쓰고 싶은 사람에게도 들어두면 좋을 듯 싶다. 시중에는 정말 많은 여행에세이들이 나와있고 나 역시 셀 수 없이 많은 책들을 읽어왔다. 일단 여행이라는 테마가 들어가면 에세이나 가이드북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끈다. 그런 연유로 여행작가는 어떻게 되는지, 여행작가만으로 수입은 괜찮은 지 궁금해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결론적으로 여행작가만 하기에는 확실히 돈이 아쉽다. 여행경비를 자비로 갔다 오는 케이스가 많고 여행사나 항공사에서 협찬을 받은 경우는 정말 운 좋은 케이스인 것이다. 작가는 2년 이상 생계에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는다면 도전해도 좋다고 하는데 읽고나니 여행 시작부터 끝나고 난 뒤 골방에 앉아 하루종일 원고를 작성하는 일이라는 게 한 사이클인데 단지 여행을 마쳤다고 끝이 아닌 것이다. 여행 중에는 틈틈히 노트북에 정보나 메모, 글을 남기고 여행지에 대한 사진도 빼놓지 말아야 한다. 이왕이면 영어나 제2외국어 쯤은 간단하게 회화를 나눌 수 있으면 좋다. 


분명 장점이 많지만 여행작가가 되기 위해선 글부터 잘 쓰고 볼 일이다. 어쩌면 가장 비효율적인 자영업이라는 작가의 진단이 맞을지도 모르겠지만. 책을 낸다고 당장 엄청난 수익이 발생하는 것도 아닌데다 인지도를 높여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 일이 어디 쉬운가? 일반인이 쓴 여행에세이도 많이 읽어봤는데 전문작가 못지 않게 잘 쓴 것도 있지만 평이한 수준에 머무른 감상기를 담은 책도 왕왕 있었다. 아마 여행작가가 궁금한 사람들에게 이 책의 부제가 제대로 설명해주리라 본다. 여행작가에 대한 궁금증이 비밀노트를 통해 풀렸다. 여행작가로 산다는 건 참 멋진 일이다. 다방면에서 팔방미인이 되어야 할 것 같은 여행작가. 언제가 도전해볼만한 직업인 것 같다. 자유를 열망하는 사람이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