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번의 소개팅과 다섯 번의 퇴사
규영 지음 / 나무옆의자 / 2016년 2월
평점 :
절판




휙휙 가볍게 읽어나갈만한 소설이다. 같은 집에서 함께 사는 우영과 구월. 둘은 동갑내기 친구로 사실은 우영의 부모가 다투는 걸 피해 독립해서 나온 집에 구월이 오면서 같이 월세 반씩 쪼개 내면서 산다. 우영은 지금까지 다섯 번의 퇴사를 했고, 구월은 수많은 소개팅을 했고 사귀기기만 하면 두 달 반을 넘기지 못하고 헤어지는 징크스(?)를 갖고 있다. 30대 여자들의 삶을 가식없이 솔직하게 써서 좋았다. 어떻게 보면 우영의 반복적인 퇴사는 나름 다 이유가 있었다. 그리 크지 않은 회사를 다니게 되면 꼭 문제가 하나둘 터진다. 나름 퇴사하기 전에는 퇴사 후 펼쳐질 계획으로 행복을 꿈꾸지만 말이다. 친구끼리 서로 마음이 잘 맞아서 힘들 때면 기운내라고 위로해주고 밥도 같이 먹고 즐겁게 사는 모습이 부러웠다. 여자들끼리 있어서 더욱 진솔하게 들렸던 것일까? 누구나 자신만의 공간에서 삶을 살아가는 로망을 꿈꾸곤 한다. 오롯이 세상 앞에 나서서 모든 일련의 일들을 해결해나가는 모습을. 여자들의 자취집이라면 딱 이 소설의 분위기겠구나 싶다. 집안에 TV는 없지만 넓은 창문을 두고 노트북 컴퓨터로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밥을 먹고 남자친구 얘기를 솔직하게 털어놓는 등 아기자기하게 꾸미는 삶의 모습이 그려진다. 


카드값, 밥값, 나잇값 하랴 세상 앞에 고군분투하고 있는 우리 청춘들. 어릴 적에는 이런저런 꿈들이 존재했는데 지금 학생들은 회사원이 되는 게 꿈이라고 한다. 정형화된 회사원도 이젠 이루기 위해 꿈을 꿔야 하는 시대다. 하고 싶었던 많은 꿈들을 접고 험난한 현실 속에서 당당하게 자리잡을 수 있을 때까지 버텨내야 할 삶이다. 규영 작가가 직접 일러스트 그림을 그렸다고 하는데 감상하는 소소한 재미도 쏠쏠하다. 현실감있게 그려진 신체가 정겹고 너무 예쁘장하지 않고 평범해서 편안하다. 자취집에 살면 해결해야 할 게 많은데 그리 좋지 못한 낡은 집이라면 항상 수도, 바퀴벌레 등의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데 이들이 사는 곳도 예외는 아니다. 이래저래 저렴한 월세 덕(?)에 불편한 게 한 두가지 아니다. 이 소설이 결론을 정해두고 있지는 않다. 우영은 퇴사 후 작년에 쓴 소설을 가다듬으면서 신생 출판사를 차릴 꿈에 부풀어있고 구월은 작업실을 정리하고 미술의 길을 포기하기로 한다. 그리고 어김없이 소개팅 제의가 들어온다. 그녀들은 행복한걸까? 나들 열심히 사는 모습이 그려진다. 4월 벚꽃이 흩날릴 때 KTX에 몸을 싣고 부산여행을 하는 기분이 홀가분하길. 앞으로의 인생도 아름다운 일들만 가득 펼쳐지길 또 기대하게 한다. 그녀들의 인생처럼 우리들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