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교양 (반양장)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에 큰 인기를 끌었던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가 독자들로부터 사랑을 받았던 이유를 곱씹어 보면 수업을 듣고 난 후 내용을 잘 정리한 노트를 본 듯한 느낌이었다. 채사장 작가의 신작인 <시민의 교양>도 마찬가지였다. 국가의 일원이자 공동체로서 꼭 알아야 할 내용을 쉽게 풀어냈다. 일반 시민들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놔서 뼈대를 잡아주기 때문에 알아두면 읽을수록 교양이 쌓이는 책이다. 이 책은 세금, 국가, 자유, 직업, 교육, 정의, 미래 파트로 나뉘어서 차근차근 설명해내고 있는데 이를테면 의견이 다른 A와 B가 등장하여 비교하기 쉽도록 스토리텔링을 잘 짜놨다. 각각 의견이 엇갈릴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와 통념상 그렇게 구분해놨기 때문에 어느 의견을 편드는 것이 아닌 중도 입장에서 모든 판단은 독자들에게 맡기는 방식이다. 아마 읽다보면 이건 학교 다닐 때 배워던 내용인데라며 복기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시민이라면 응당 알아야 될 것들이라 책 제목도 <시민의 교양>이라고 지은 듯 싶다. 내 생각은 이렇지만 반대편 의견은 무엇인지 책을 읽으면서 독자 스스로 생각하게끔 쓰여진 점이 좋았다.

 

 

확실히 요즘처럼 빠르게 변하는 시기에는 이런 책이 각광을 받는 듯 싶다. 보통 학교를 졸업한 뒤에는 대부분 일상생활이나 내가 범접한 문제가 아닌 다른 영역은 도외시하기 쉬운데 <지대넓얕>에 이은 <시민의 교양>은 전체적으로 어렵지 않게 쓰여졌으면서 폭넓게 누구나 읽어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교과서와도 같은 책일 듯 싶다. 특히 세금이나 직업, 교육, 정의는 민감한 사항이다. 우리가 번 소득에서 떼어나가는 세금은 직접세와 간섭세가 있는데 여기서 세금은 복지와 상관관계를 가지며 어떤 국가를 지향하는 지에 대한 정체성이 드러난다고 한다. 아주 깊게 들어가지는 않지만 전반적인 큰 틀에서 설명하기 때문에 원리만 제대로 알고 있으면 된다. 우리가 무지해서 그렇다기 보다는 깊게 생각하지 않아서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아서 몰랐을 수 있다. 인문학을 뛰어넘어 현실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이 책에 이어 다음 신작은 무엇을 다룰 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한 번쯤은 이런 책이 나와주길 기대했었는데 특히 정의 파트를 읽으면 과연 우리 사회에 정의란 누구를 위한 것인지 곰곰히 생각해보게 된다. 


직·간접적으로 우리는 뉴스나 팟캐스트를 들으면서 현실사회의 부조리와 맞대면을 하게 된다. 과연 이 사안은 옳은 지 아니면 그른 지 판단을 요구받는다. 개인적으로 보수와 진보라는 이념 사이에서 극과 극에 치우치지 않으려고 한다. 올바른 잣대를 견지하고 이런 교양을 쌓아나갈 때 비로소 튼튼한 자양분이 되어 현실에서 일어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 우리가 내는 세금, 국가의 개념, 직업과 일, 교육문제, 사회의 정의와 법, 미래와 자유는 내 삶을 결정짓고 우리가 살아가는 환경에 관한 내용이기에 <시민의 교양>과 같은 책을 읽음으로해서 균형감각을 갖출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