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깊은 슬픔이 말을 걸때
한순 지음 / 나무생각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를 읊으면서 남들에게 말 못할 슬픔을 달래던 시기가 있었다. 은유와 여운이 담긴 구절 속에 꽁꽁 싸매고 다닌 상처를 넣어 아픔을 승화시키곤 했었다. 그때처럼 시를 읽지도 않고 쓰지 않은 지도 오래되었다. 과학기술이 발전할수록 생활은 나아져가고 있지만 삶의 패턴이 빨라지다보니 느긋하게 앉아 집중하며 시를 읽기란 더욱 어려워진 것 같다. 시에 집중하기엔 방해하는 요소들이 많다보니 잘 읽지 않게 된다. 그런 와중에 만난 한순 시인의 시집 <내 안의 깊은 슬픔이 말을 걸 때>는 오래 전 한창 시에 빠져서 습작하던 그때로 시곗바늘을 되돌려주었다. 순수 시가 가진 힘은 은유로 표출되는 상상력이 기대 이상의 감동으로 다가오기 때문일 것이다.


토란잎에게


내 한숨을 먹으며 자란 토란잎은

내 근심거리보다 얼굴이 더 커졌다

저 넓은 잎에 무거운 마음을 많이 기대었다

녹색의 이파리는 내 어두운 얼굴을 이리저리 굴리다

바닥에 쏟아버리곤 했다

그때마다 나는 조금씩 가벼워졌다


시집에 있는 시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시였다. 왜 이렇게 걱정거리는 많은지 늘 한숨과 근심이 떠나지 않던 어느 날 우연히 베란다에서 본 토란잎이 마치 나를 닮은 듯 보인 것이다. 맑은 공기 대신 한숨을 먹고 자랐고 넓은 토란잎은 내 근심거리보다 더 크게만 보인다. 주변에 기댈 사람이 없어 토란잎에 의지하였고, 마음에 가득 들어찬 근심들을 모두 쏟아내고 싶었을 것이다. 그러고나면 한결 마음이 가벼워질 것만 같기에. 주변 생활에서 겪은 일들을 시 속으로 잘 녹여낸다. 참 닮고 싶었던 부분이다. 일상이 시로 표현될 때 작고 보잘 것 없는 나이지만 어떤 어려운 환경도 이겨낼 수 있게 하는 그런 힘을 주는 것만 같다. 그래서 시를 읽고 나면 마음이 조금은 진정되고 상처가 아물며 아픔이 치유되는 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