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 상 - 조선의 왕 이야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
박문국 지음 / 소라주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이라는 책은 한 손에 들고 읽기에  좋을만큼 작은 판형으로 제작되었다. 조선의 왕 이야기(상)은 태조 이성계부터 선조 이연까지의 역대 조선의 왕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조선의 왕들을 정리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왕들에 대한 이미지가 후대에 와서 만들어진 것 같은데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에서 그 오해를 푸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선 2대 왕인 정종인 이방과는 유약하다는 이미지와는 달리 아버지인 이성계를 닮아 강골이라고 한다. 젊은 시절에는 아버지를 따라 전쟁터를 누볐을만한 혁혁한 공을 세운 무공이었다. 그리고 이방원은 사실상 강력한 왕권을 구축하여 조선의 기틀을 세운 왕이다. 뛰어난 정치력과 과거에 급제한 이력이 있을만큼 지식도 갖추고 있다. 역사라는 건 이렇게 알면 알수록 한층 앎의 깊이가 더욱 깊어지는 것 같다. 교과서에 갇힌 지식은 기본적인 부분만 있을 뿐 디테일한 것까지 다루고 있지는 않다. 


책이 얇다고 무시할 수 없다. 꽤 잘 만들어진 책이고, 분명 이 시리즈가 이어질수록 꼭 읽어봐야 할 역사 관련 책이 될 것 같다. 대부분 왕의 치세와 생활에 대한 부분을 잘 정리하고 있는데 꼭 알아야 할 것만 정리해줘서 조선의 흐름을 꿰뚫어주고 큰 맥을 잘 짚어내고 있다. 역사를 다룰 때는 시대적 배경과 이데올로기의 사념이 개입하지 않은 채로 정확한 고증을 거쳐 중립적 시각에서 바라봐야 한다. 왜곡되고 편향된 관점에서 역사를 읽는다면 꼭 자신이 바라보는 것만 믿고 그것이 진리인냥 착각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한국사에 대한 거의 모든 지식을 다룰려면 고조선부터 시작해야 하는 것은 아닐까라는 생각도 해봤지만 조선만 해도 오백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의 유실없이 남겨져 있어 비교적 정확하게 그 시대의 왕들의 행적을 알 수가 있다. 36만명이 구독하는 카카오스토리 역사 부문 1위를 차지했다는 건 저자의 방대한 역사적 지식과 독자들의 관심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 


앞으로도 이런 책들이 더욱 많아져서 어렵게만 느껴졌던 역사를 쉽게 읽혀졌으면 좋겠다. 엄숙하지도 않고 딱딱하지도 않은 책이라 누구나 읽어도 재미를 느끼면서 읽을 수 있는 책이다. 상·하의 구분없이 한 권으로 내도 충분한 분량이지만 독자들의 문턱을 낮추고 어디서든 읽기 편하게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그 기획의도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