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시간의 한국사 여행 1 - 도전과 응전, 새 길을 열다, 선사 시대에서 고려까지 36시간의 한국사 여행 1
김정남 지음 / 노느매기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36시간의 한국사 여행 시리즈는 선사시대부터 조선, 현대사까지 총 3권에 걸쳐서 발간된다고 한다. 중·고등학교를 다니면서도 국사/세계사 시간만큼은 눈빛을 초롱초롱 빛내며 들을만큼 역사는 늘 재미있는 주제이자 시간여행을 떠나는 기분으로 듣곤 했다. <36시간의 한국사 여행>은 마치 다시 교과서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을 주었다. 비교하자면 전체적인 맥락이 훨씬 물흐르듯 부드럽게 이어지며 오히려 교과서보다 훨씬 한국사를 이해하는데 부족함은 없어 보였다. 다만 교과서라는 기존 범주 안에서만 씌여졌을 뿐 더 넓은 시각을 보여주지 못해 아쉬웠다. 근래들어 기존 역사에 대한 의문점들을 밝혀나가는 시도들이 많고 다양한 시각에서 해석하는 책들이 나오는 이 시점에서 교과서와 다를 바 없는 컨셉은 갈증을 풀어주기 보다는 그냥 그 때 달달 외웠던 한국사를 다시 보는 느낌이 들었다.


책을 읽다보면 한국사의 요약본인 듯 사실만을 들어 쭉쭉 적어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편협한 틀에 갖히는 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교과서라는 틀에서 배울 때는 암기과목이었기 때문에 점수를 딸려고 대본을 외우듯 자동반사적으로 출제문제에 최적화된 공부를 해야했다. 반드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이것이야야 하고. 그것이 진실이나 정설로 받아들여야만 했다. 지금 우리의 역사는 주변국을 비롯한 내부에서도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미 일제강점기 때 조선사편수회로 인해 망가질 때로 망가진데다 동북공정과 제특회로 촉발된 역사왜곡이 진행형이며, 뉴라이트 역사관의 침투는 노골적이라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그냥 대놓고 역사적 사실을 왜곡시켜 자신들이 원하는 정치적 이용에 따라 조작하는 상황에서 이런 책들이 계속 출간되어야 한다. 더 다양한 연령층에서 읽어야 하며, 우리 역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다만,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항상 의문점을 가지고 강자의 역사관으로 씌여진 부분은 없는지 그 기조도 재확인하며, 올바른 역사관을 갖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지 않지 않아야겠다. 영어를 잘하고 중국어를 잘하는 것도 좋지만 역사를 등한시하는 민족에게 미래는 암울한 둥굴과 같다. 앞으로 더 좋은 역사 관련 책들이 나오기를 바라며, 이 책 한 권이면 국사 한 권은 다 커버된다고 보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