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많다. 그러나 글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의 수는 확 줄어든다. 고로, 글을 쓰는 모든 이들은 독서를 좋아하지만 독서를 좋아하는 모든 이가 글을 쓰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input 인 독서는 약간의 의지만으로 가능하다. output 인 글쓰기는 상당한 노력이 필요하다. 나는 이 과정들을 장을 봐서 요리하는 것과 비슷하게 본다. 요리를 위해 좋은 재료를 사오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 재료로 맛있는 요리를 하려면 나름의 레시피와 노하우, 손맛 그리고 타고난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그러니 당연히 힘들다. 그럼에도 꾸역꾸역 완성해 낸 나의 요리가 제법 맛을 내고 있으면 그 뿌듯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여기에 각자의 분야에서 열심히 살던 독수리 5형제 같은 다섯 여자의 글이 있다. 독서를 좋아하고 글도 좋아하지만, 막상 글을 내보이기엔 쑥쓰러워 한다. 뭐 어떤가? 처음부터 문학상의 작가가 되는 것은 아니다. 강은영 작가의 말처럼 글은 써봐야 알 수 있다. 모든 준비가 된 상태에서 글을 쓸 수는 없다. 걸음마하며 넘어져 보지 않은 아이는 절대 뛸 수 없다. 글이라는 것은 살아있는 생물같아서 시작과 달리 엉뚱한 곳으로 튀기도 한다. 얼른 달려가 잡아오지만 또 튀어나간다. 그런 순간을 모두 겪으며 지금에 이른 5명의 작가들은 글쓰기에서 겪은 나름의 어려움과 비법을 이야기해준다. 각각의 스타일은 조금씩 다르다. 그러나 모두가 공통적으로 말하는 건, 죽이되든 밥이되든, 용감하게 많이 읽고 많이 쓰라는 것이다. 사실, 모르는 사람이 없는 비법이지만 끝까지 해내는 사람도 잘 없는 비법이다. 글쓰기는 나를 드러내는 일이다. 힘들고 지치는 순간에도 수다떨 듯, 글로 떠들다 보면 진짜 내가 보이고 인생의 답도 얻고 용기도 얻는다. 우리 모두는 한때 문학소녀였다.어느 순간부터 삶에 치여 떨어지는 낙엽과 사색할 시간이 없어졌다. 글쓰는 시간은 바로 그때로 나를 데리고 가 잊고있던 나를 찾아준다. 그러니 이제부터라도 '바빠도 글을 쓰자.' 그 과정에서 인간적인 성숙도 이뤄진다. 더 많은 사람들이 글을 쓰고 책을 내며 삶의 보람을 찾아간다면 이 사회도 더 풍성하고 성숙해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