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밀한 착취 : 돌봄노동
알바 갓비 지음, 전경훈 옮김 / 니케북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가 필요하다" 는 말이 있었다. "엄마" 라는 단어가 주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한 것인데, 나를 먹여주고 입혀주고 챙겨주는 존재!
그래서 나는 아침에 이불에서 쏙 빠져나와 나를 꾸미고, 일하러 갔다가 집에 돌아오면, 따뜻한 밥상과 보송한 옷을 언제나 제공받고, 때로는 감정 쓰레기통으로서 나의 짜증까지 받아주는 존재말이다.
그래서 엄마도 엄마가 있었으면 좋겠다.

세상 가장 신성한 가정내에서, 사랑하는 가족을 위한 무한반복의 노동은 사랑과 헌신이라는 이름의 포장지로 예쁘게 포장되어 있다.
이것은 삶의 가장 큰 선물이니 거절한다는 것은 마치 신성모독이자 크나큰 사회의 위계질서를 깨는 큰 죄인양, 강제로 아내와 엄마에게 떠안겨진다. 그 바탕에는 거부할 수 없는 죄책감을 깔아두기 때문이다

이는 여성인권이 더 나은 서양에서도 일어나는 일이니, 가족중심적인 한국의 상황은 말할 것도 없이 더 심각하다.
'며느리' 의 의무는 왜 사위보다도 심지어 아들보다도 많은가? 왜 수많은 장녀들은 대우받지 못하면서도 의무와 도리만 남아있는가? 최근에 생긴 딸 선호사상 조차, 노후에는 딸이 더 잘 챙겨준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돌봄노동은 감정노동의 극대치다.
인간관계에서 발생하는 노동의 특성상 어떠한 식으로든 몸과 감정이 같이 소모된다.
대부분, 돌봄노동은 가족이라는 틀안에서 일어난다. 여성은 좋은 삶과 행복을 책임질 의무를 떠안고 있다. 그 일이 고되더라도 내색할 수 없고, 댓가도 없으며, 인정도 받지 못한다. 가사노동과 돌봄노동은 새로운 노동의 재생산에 꼭 필요한 '재생산 노동' 임에도 여전히 무임금의 '놀고먹는 행위' 로 통한다.
또한, 자본주의 사회는 여성에게도 같은 수준의 수익창출노동을 요구하면서 남성보다 더 많은 양의 돌봄도 강요받는 것이 현실이다.

언젠가 본 통계에서,
"부부 중 남편이 암에 걸리면 아내가 간병을 하고, 아내가 암에 걸리면 남편은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 를 보았다.
평생 함께한 아내를 위해 자신이 돌봄을 해줄 의향은 없고, 이제부터 아내가 자신을 위해 가사노동을 해주지 않다는 사실에 이혼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우리 사회 돌봄노동의 현실을 잘 보여주는 통계다.

이 책은 현대 남성들이 싫어하는 페미니즘을 기반으로 둔 책이다. 그러나 복잡한 여성학이론을 차지하고라도 여성에게 훨씬 더 많이 떠 안겨진 돌봄노동의 현실만큼은 남성들도 깨우칠 필요가 있다.
이것이 비혼주의와 저출산에 큰 영향력을 준 것은 사실이기 때문이다.

최대한 개인적인 감정을 빼고 이성적으로 읽으려 했지만, 책에 나온 사실 직시보다 한국의 현실은 더 나쁘다는 것에 감정이 다소 들어갔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