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위에 사람있고 사람 아래 사람이 있던 시대, 일제 강점기 조선은 사람의 위아래가 켜껴이 쌓여있던 시대다. 양반은 죄없는 아랫것들에게 아무렇지 않게 매를 대고, 일본인은 하찮은 조선인을 하대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세상에서 꿈을 꾸는 어린 계집 화녕도 자유를 꿈꾸는 도련님 인서도 삶은 녹록치 않다. 신여성 가수 윤심덕처럼 되는 것이 소원인 화녕은 오늘도 화냥년 소리를 들으면서도 이곳저곳에서 노래를 부른다. 그녀에게 노래는 꿈이자 밥벌이이자 인생이다. 그녀를 아꼈던 아버지 재후는 독립운동을 하다 잡혔고 딸은 살기 위해 오늘도 제 아비를 죽인 헌병대장 앞에서 노래비를 받고 노래한다. 그래서 그녀의 노래에는 깊은 한이 배어있다. 아무리 시대가 암울하고 제 살기 바빠도 헌병대장인 아비가 행한 몹쓸 짓을 괴로워하는 아들 현성도 있고, 위아래 없이 사람들을 두루 살피는 도련님 인서도 있다. 그들의 눈에 화녕은 그저 안타깝다. 화녕의 아비가 죽어가는 날에 화녕이 당한 몹쓸 짓들도 알고 그후로 고달픈 인생을 살아가는 그녀에게 인서도 현성도 연민과 정을 느낀다. 시대가 아무리 하수상해도 화녕과 인서, 현성 그리고 인예 까지 그들의 삶은 왜 그 리도 서글픈 지? 내 상처가 아파 또 다른 이에게 상처를 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지 못한 채, 돌고돌아 다시 자신이 아파하는 인생들이다. 그래도 화녕만이 노래로 불꽃같은 자신의 인생을 표현한다. 길고 긴 세월 속에서 보면 그저 스쳐 지나갈 일들이기에. 마지막까지 노래로 세상을 돌아보는 그녀에게서 초월자의 모습이 보일 정도다. 다양한 캐릭터들이지만 각각의 인물들에게 모두 아픔이 느껴졌다. 한국 근대사의 이야기는 볼 때마다 늘 마음이 아프다. 픽션이지만 논픽션같은 사실성에 그저 가슴이 먹먹하다. 이 소설을 읽은 여운이 오래갈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