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과학 - 신경과학과 발달심리학이 제시하는 7가지 삶의 방법
브루스 후드 지음, 이원기 옮김 / 에디터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이라는 주관적인 감정을 과학으로 분석해서 풀어 놓을 수 있다면 많은 사람들이 행복에 좀더 가까워 질 수 있을 것 같다.
이 책은 신경과학과 발달 심리학의 시선으로 행복을 위한 7가지 Lesson 을 진행한다.

1.나를 변화시켜라
~행복의 전제조건은 '나' 에 대해 제대로 아는 것이다. 자기 중심적인 자아와 타인 중심적인 자아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것은 가장 중요하다.
2.사회적 고립을 피하라
~사회적 상실의 고통은 신체고통을 느낄때 활성화되는 뇌와 부위가 같다고 한다. 친절을 베풀고 인간관계를 발전시키되, 과도한 sns사용은 중단하는게 좋다.
3.부정적 비교를 거부하라
~타인에게 인정받고자 비교할때, 종종 잘못된 결론을 내리는데 그것이 불행의 시작이다. 원하는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다. 최선의 길은 선택의 기회를 제한하는 것이니 최악과 비교해라

4.좀 더 낙관적으로 생각하라
~자신의 더 나은 미래를 생각하고 계획하고 실천에 옮긴다면 낙관적인 마음을 가지는 데 도움이 된다. 학습된 낙관주의를 실천하는 것도 필요하다.
5.주의력을 제어하라
~부정적인 마음은 불쑥불쑥 생긴다. 과거의 실패를 되새김질하는 것을 경계하고 규칙적으로 명상하며 당장 당면한 문제와 적당한 거리를 두고 바라보라
6.사회 연결망을 강화하라
~인간은 타인에게 의지하면서 동시에 상처받는다. 걱정하는 것보다 타인은 나에게 관심이 없다. 그럴 시간에 더 많이 참여하고 경청하며 신뢰받는 사람이 되자
7.나만의 세계에서 벗어나라
~내가 타인에게 행복을 주는 만큼 그들에게서 행복을 받을 수도 있다. 고독을 즐기며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되 함께 무언가 배우는 활동에 참여하라.

위에 나온 행복의 과학 프로그램은 2018년 영국에서 실제로 10주간 진행된 강좌였으며 이후, 수강생들의 심리를 측정한 결과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고 한다.
잡기 어려운 행복을 내 것으로 만들려면 실천이 중요한 건 두말할 필요가 없다.

행복은 눈에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는 공기같다는 생각이 든다. 우리 옆에 늘 있지만 의식하지 않고 산다.
그런데 의식하며 크게 숨을 내쉬어 보자. 늘 내 옆에 있는 고마운 존재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