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를 바꾼다는 것 - 트랜스젠더 모델 먼로 버그도프의 목소리
먼로 버그도프 지음, 송섬별 옮김 / 북하우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에는 성별을 뜻하는 말에 젠더가 아닌 생물학적 의미가 강한 섹스를 사용했었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사회적, 문화적 의미를 함축한 젠더를 더 많이 쓰기 시작했다. 성별이라는 것이 태어날 때 가지는 신체적이고 생물학적인 것이 전부가 아니라 살면서 각자가 느끼고 배우는 사회.문화적 의미가 크다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인정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영국의 트랜스젠더 모델 먼로 버그도프가 썼다. 트랜스젠더를 방송에서 몇번 접한 정도였는데. 그들의 내밀한 목소리를 듣고 그들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게 해준 책이다. 아무리 부정해도 여전히 성소수자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이 없다고 말할 수는 없으니까 말이다. 사실 세상 모든 일은 본인이 경험해보지 않은 상태로 다수의 입장에 속해 있으면 잘 알 수 없다.

먼로는 백인엄마와 흑인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나 중산층 마을에서 살았다. 대다수의 백인들이 사는 조용한 마을에서 검은 피부의 남성이라는 존재는 이미 경계의 대상이었다. 그런데 학교생활을 하며 "남자지만 너무 여자같아서" 어느 곳에도 끼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가족에게 커밍아웃한 순간에도 마찬가지다. 그는 그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봐주기 원했지만 세상은 그렇지 못했다. 대학을 가기 위해 고향을 떠나면서 그제서야 독립하고 먼로라는 중성적 이름으로 바꾼 뒤. 새로운 인생을 살게 되었다.
그리고 모델일을 하게 되며 남들보다 좀더 가진 영향력을 본인같은 사람들을 위해 쓰기로 생각한다.

막연히 트렌스젠더나 성소수자들의 삶이 쉽지 않을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이들의 삶은 우리의 생각보다 더 고달펐다. 사회적 박해와 고난은 말할 것도 없거니와 본인 내면에서 겪는 정체성의 혼란과 불안으로 자해를 경험하거나 극심한 우울증을 겪고 과음과 마약까지 하게 된다.
안타까웠다. 어찌보면 그것은 그들의 운명이라 거부한다고 되는 게 아니었을텐데 말이다.

아직까지 내가 주변에서 직접 본 적은 없는 지라 여전히 크게 와 닿지는 않는다.
익히 들었던 몇가지 트랜스 용어 외에 처음 듣는 퀴어들의 용어들도 많아 그것이 뭘 의미하는지 알 수 없는 것들도 있었다. 그리고 한때 남성이었으나 트랜스여성이 된 먼로의 시선에서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의 외모가 성적대상화가 되는 표현을 읽을 때는 복잡한 마음이 들었다.

그러나 이 책을 통해 그들의 삶이 어떻게 흘러갔다는 것을 알았고 적어도 다수의 소속된 사람들이 하지 말아야 할일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게 되었다. 누구든 인간으로써 존엄을 지키고 존중받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 만큼은 진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