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 - 이정모 선생님이 과학에서 길어 올린 58가지 세상과 인간 이야기
이정모 지음 / 오도스(odos)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립과학원장을 지내셨던 이정모 선생의 신간이다.



언제나 과학에 관심은 많지만, 외울 것도 많고, 이해가 안되는 부분도 많다는 한계를 언제나 경험한다.

나의 지성의 한계인가 싶기도 하고,

이것밖에 이해 못하는 건 고등학교, 대학교 때 공부를 덜해서 그런건가 싶기도 하다.

아이들이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가면서 과학에 대해서 배우기 시작했다.

나와 마찬가지로 아이들은 과학을 어려워했다.

어려운건 둘째치고, 과학이 뭔지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어려워했다.

그때 내가 해준 설명은 "과학은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 이유를 궁금해 하고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해줬었다.

마침 이정모 선생의 신간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해주셨다.

크기와 숫자를 근거로 의심하고,

질문할 때도 따뜻하고 예의 바르고 겸손해야 한다.

겸손함이란 자신의 본능과 지식의 한계를 인정하고,

모른다고 말하는 것을 거리끼지 않는 것이면서,

새로운 사실이 밝혀지면 기존의 생각을 버리고 바꾸는 태도다.

여기서 과학 문해력이 생긴다.

서문

과학은 세상이 움직이는 방식에 대한 나의 예상/가설/추측이 맞는지,

여러가지 방식(ex. 실험, 관측, 사고실험 등)으로 확인하고,

다른 사람이 다른 방식으로 그 결과를 검증하고,

이론을 정립하고,

그 이론을 다시 검증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아우르는거라고 생각한다.

결국 과학은 지식이 아니고, 사안을 대하는 태도에 가까운 것이다.

'과학의 눈으로 세상을 봅니다'에서는

이런 시선으로 우리 주변의 일들을 하나씩 바라보면서 과학적인 관점, 태도에서 그 일들을 설명? 하는 방식으로 하나씩 에피소드를 적어갔다.



우리 주변의 자연 환경이 변했는지, 왜 변했는지,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1장의 '멸종을 피하기'에서 설명하고 있다.

2장인 '더불어 살아가기'에서는 세상을 살아가는 사회구성원으로서 과학에서 배울 수 있는 점은 무엇일까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풀어주셨다.

제일 마음에 와 닿았던 부분은 '수소결합 같은 삶'을 살아가면 좋겠다는 부분이었다.

한 명이 엄청난 에너지를 쏟아서 하는 일 말고 보통사람들이 할 수 있는 아주 작고 간단한 일,

예를 들어 하루에 10분을 할애하거나, 또는 한달에 만원을 쓰거나,

아니면 어느 장소에 있어주는 것만으로도 세상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그냥 내가 거기 있는 것만으로도 세상에 도움이 된다면,

수소 결합 같은 삶을 살면 좋겠다.

p.91

3장과 4장에서도 과학적 사고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본 이야기를 해주고 계신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벼운 이야기이지만, 마냥 가볍지 않은 내공을 느꼈다.

가능한 선에서 합리적이고, 올바른 관점으로 세상을 바라보려고 노력해야 한다는 메세지를 얻을 수 있었다.

언제나 이런 관점을 유지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렇지만, 가짜와 거짓 정보가 난무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는 시점에 이런 관점을 계속 떠올리면서 세상을 살아갈 필요가 있다.

충분치 않더라도 과학적 태도로 합리적 근거를 가지고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는게 필요한 세상이 아닐까?

그런 삶을 살기 위해서는 한번쯤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