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교양 (반양장) - 지금, 여기, 보통 사람들을 위한 현실 인문학
채사장 지음 / 웨일북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 그대로 시민으로써 갖춰야 할 기본적인 교양을 쌓기에 좋은 책. 경제나 사회 전반에 무관심한 나한테는 넘나 좋았음. 근데 전공이 전공인지라 포스트잇 붙인건 다 교육 내용이었음

풀꽃도 꽃이다처럼 공교육 아는척하면서 헛다리 짚는 책 때문에 비전공자가 쓴 교육책이 싫었는데 요건 좋다~

우리는 수업의 내용이 아니라 형식에 의해 교육된다.

평가 방식 자체가 학생들을 가르친다.

객관식 문제로 평가받고 강의식 수업으로 교육받은 사람은 진리가 있다고 믿으며 틀리는 것을 두려워하고 옳고 그름을 따지는 방식으로 문제를 대면한다.

#우리가 살아가는 인생에도 개인에 따라 다 다른 행복이 있고 결혼생활이 있고 직업관이 있는데, 한가지 정답만 있는 것처럼 얘기하는 것이 기성세대가 받은 천편일률적 교육과 연관이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과에서 공부 잘하면 다 의대를 가야하고, 공부를 더 해서 교수가 되거나 대기업에 취직하거나, 여자는 적당한 때에 결혼해서 애기를 낳아야 하고, 뭐 그런거..

서술형 문제를 풀고 토론식 수업으로 교육받은 학생은 자신과 다른 의견이 있음을 알고 문제가 생겼을 때 이를 조율하고 설득할 수 있다.

학교는 경쟁이 정당하다는 환상을 심어주며 사회문제의 책임 또한 사회가 아닌 개인의 책임인 것처럼 전환한다

수능 5등급인 학생은 딱 평균이다. 평균인 학생은 평균의 삶을 살 수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은 공정한 경쟁에서 진 학생의 잘못이 아니라 사회의 문제다

교육 문제의 해결 방법은 교육과 관련된 사람들의 의식을 바꾸거나 교육의 구조를 바꾸는 것이다. 교육의 구조를 바꾸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사람들의 교육에 관한 의식을 바꾸는게 내가 하고 싶은 일이었는데, 구조를 바꾸는게 더 효율적이라고..?? 의식을 바꿔나가면 구조가 바뀔 힘이 생기지 않을까 구조가 바뀌면 좋겠지만 그게 다수의 의식 변화가 없이 먼저 가능할까아아 모르겠다아아아

교육은 경제구조와 함께 고려해야 함

부모 세대의 개인적 성공에 대한 아비투스는 자녀 세대에 주입되어 사회적 문제를 개인적 실패의 문제로 해석하게 한다. 새로운 사회에 새로운 가치관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른이 되어 더 큰 혼란이 시작되었다 - 이다혜 기자의 페미니즘적 책 읽기
이다혜 지음 / 현암사 / 201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움에 너무나 관대하고 추함에 너무나 잔인한 사회에서 살아가는 못생긴 여자에 관한 이야기. 그리고 그 못생긴 여자를 사랑하는 남자. 사람은 자신의 살아온 삶, 가치관, 가정환경, 콤플렉스로 사랑할 누군가를 찾게 되므로 이해할 수 있다는.
문장이 너무나 독특하고 감성적이다. 주제는 모르겠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무 극단적인데? 이런 생각도 드문드문 들었지만 새로운 생각을 하게해서 좋았다

현재의 나는 어떤 과거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내가 선택한 생활양식에 따라 현재의 내가 만들어지는 것이며 트라우마란 존재하지 않는다.

*트라우마는 존재할 수 있으며 과거에 어떤 경험을 하였느냐가 쉽게 사람의 성격을 형성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불행한 과거를 가지고있는 사람이 인과론으로 생각한다면 자신은 계속 불행하고 트라우마를 가질 수밖에 없다.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중요하다. 그건 아들러의 말대로 내가 어떤 생활양식을 택하느냐의 문제이다.

모든 인간은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하는 우월성 추구를 하며 이 목표에 도달하지 못할 때 열등감이 생긴다. 열등감은 누구나 있으며 성장을 위한 자극이 된다. 하지만 정도가 심하면 열등 컴플렉스가 되며 이는 변명거리가 되어 자신을 주저앉히기도 한다. (‘인생의 거짓말‘) 열등감은 자신의 삶을 다른사람의 삶과 비교하며 경쟁심을 느끼도록 한다.

인간이 진정 자유롭기 위해서는 각자의 과제가 있음을 인정해야 한다. 내 과제에 다른 사람을 개입시키지 말고 나도 다른 사람의 과제에 개입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으로부터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하며 남의 평가로부터 초연해야한다.

지금,찰나를 살자. 인생은 선이 아니라 점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지금을 충실하게 살고 찰나에서 행복을 찾을 수 있다. 여행하듯이 살면 된다. 결과를 위해 현재를 견디는 것이 아니라 과정 중인 지금이 행복하고 즐거우면 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효정 2017-07-07 2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쌤이 보여주었던 구절이 생각나네요ㅋ.ㅋ
 

이 책을 추천해주신 분의 얘기를 들을 땐 그냥 내 나이또래의 사랑 얘기인 줄 알았다. 젊음을 탕진하라며 전쟁 속에서도 그렇게 사랑했다며 얘기해주셨는데

뭐냐 왜 유부남을 좋아하고 행동도 경계가 없고 주인공의 생각이 여러모로 맘에 안든다 여성비하 발언도 너무나 많아 불편하고 ... ㅋ

그럼에도불구하고 이야기가 슥슥 읽힌다 하지만 많이 아쉽다 나이가 많으신 분들의 지금과 너무나 다른 가치관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하자. 바르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그렇게 살아왔고 너무나 세상이 빠르게 변해서 현재의 우리와 거리가 있나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김효정 2017-07-07 23:43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후기 웃긴데 어쪄죠ㅋㅋㅋ 좀 웃어도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