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작
백진호 지음 / 고유명사 / 2024년 2월
평점 :
1980년대 '우기파'라는 말을 낳은 고혼기 화백.
비가 내리는 듯한 화폭에 펼쳐진 몽환적인 여인의 나신을 그린
'비속의 나신'시리즈는 고혼기 화백이 그린 유일한 인물화입니다.
그 시리즈의 모델이었던 이미애는
아시아 최고의 화랑인 나래 갤러리의 대표 김지연 관장의 어머니입니다.
김지연 관장은 고혼기 화백이 발표하지 않은 나신 작품들을 모아
‘비속의 나신전’을 개최합니다.
그런데 그때 거래된 그림들이 사실은 위작이라는 소문이 돌고,
전시회에서 작품을 구매한 한 양 회장 이를 경찰에 고발합니다.
이 사건을 마약 보스 살해 사건으로 파면 위기에 처한
강정식 형사가 맡게 되는데요.
문제는 김지연 관장이
야당의 유력 대선주자인 홍정훈의 약혼자라는 사실입니다.
강정식 형사는 주변을 탐문하고 수사하는 과정에서
이것이 단순한 위작 사건으로 보이지만
그 속에 정치적인 음모와 공작이 숨겨져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화가가 직접 그리지 않은 작품은 위작일까요?
직접 그리지 않은 것은 위작이라는 사람들과
예술가의 정신이 담겨있다면
직접 그리지 않아도 진품이라 주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서
어떤 것이 진실인가를 고민하게 됩니다.
'위작'이라는 소재로 펼쳐지는 이야기지만
우리의 삶 속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들도
비슷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고 주장하는 것은
나만의 해석일 뿐....
각자의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더라고요.
거짓도 삶이란 복잡한 맥락을 거치면 진실이 된다.
진실도 때로는 거짓이 되기도 한다.
우리는 진실과 거짓이라는 이분법으로 나누기를 좋아한다.
하지만 진실과 거짓은 이분법으로 나누어지는 것인지...
-작가의 말
거짓도 진실이 될 수 있고,
진실도 거짓이 될 수 있다는 작가의 말이
책을 덮은 후에도 계속 맴도네요.
한편의 영화를 본 듯한 소설입니다.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인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