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러다 잘될지도 몰라, 니은서점
노명우 지음 / 클 / 2020년 9월
평점 :
독립책방이란 오늘날 대형 자본이 없는 구멍가게 같은 느낌으로 통용될 때가 종종 있는 듯하다. 이 때 구멍가게 이미지란, 말하자면 갖가지 현란한 이벤트 같은 것은 딱히 없고, 물량공세에서도 밀린다는 이미지에 가깝다.
[이러다 잘 될지도 몰라, 니은서점]은 바로 그 동네책방을 테마로 삼았다. 그리고 독립책방이라는 것이 마치 대중적인 인기는 없지만 독특한 작풍 덕에 매니아층을 형성한 일명 비주류 계열 예술처럼, 대형 서점과는 또다른 독립책방만의 매력이 있다는 것을 흥미진진한 이야기처럼 펼쳐내고 있다.
이 책은 독립책방이 경쟁력에서 뒤처지는 곳이 아니라, 독자적인 재미와 매력을 갖춘 공간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듯하다. 만약 막연히 독립책방이란 작고 고요한 살롱 같은 낭만적인 문화공간쯤으로 꿈꾸는 사람이 있다면, 이 책을 보고 환상이 산산조각나는 느낌을 받을지도 모른다. 이 책에서 말하는 독립책방이란 여러 가지 요소와 특징이 있고, 그 특징들은 대개 단점이 되기 십상이지만 활용하기에 따라 장점과 개성이 될 수도 있으며, 후자의 방향으로 개발하고 정착시키는 데 성공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은 어떤 의미에서는 실패 사례를 복기해서 반면교사처럼 성공 노하우를 추출한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막연히 열심히 운영하면 될 거라는 식의 마음가짐으로 독립책방을 시작했다가 제대로 성공하지 못한 이야기가 초반부의 절반 정도는 차지한다. 공간이 좁아서 많은 책을 들여놓는 데 한계가 있다는 점, 갖가지 이벤트를 잔뜩 열 여력이 부족하다는 점 등.
그리고 이 책은 단점으로만 보이던 그 부분을 오히려 차별화 요소로 삼아서, 동네책방만의 매력으로 거듭나게 만들면서 동네책방이라는 공간이 자리잡는 데 성공한 모습을 보여준다. 좋아하는 책을 사러 오면서 직접 추천받거나, 그 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 그리고 책에 대해 그보다 훨씬 더 많고 다양하고 인상적인 경험과 추억을 만들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동네책방 이야기인 것이다.
흔히 아무리 기술이 발전해도, 모니터 너머에서는 메울 수 없는 영역이 있다는 말을 하고는 한다. 아무리 화상통화가 발달해도 직접 만나서 대화하는 것만 못하고, 아무리 인터넷 쇼핑몰이 발달해도 직접 물품을 본 뒤에야만 제대로 고를 수 있는 물품이 있다는 말 등이다. 그리고 한동안 책에는 딱히 그런 특징이 없으며, 오히려 그 반대의 특징만 있다고 여겨졌다. 책은 어차피 공산품이고, 착용감 등을 타는 옷이나 신발 등과 달리 책 상태만 좋으면 어차피 똑같고, 그럴 바에는 공간 제한이 없이 큰 서점일수록 유리하며, 당연히 작은 동네책방은 그만큼 경쟁력을 잃고 불리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이다.
이 책은 마치 다급함을 과감함으로, 늦음을 신중함으로 바꾸는 것처럼 그 요소들을 동네책방의 장점으로 승화시키는 데 성공한 이야기를 보여준다. 그리고 보다 보면, 같이 책에 대해 대화하면서 책을 고르고, 그 경험을 통해서 잘 모르던 책을 추천받는 것이 얼마나 특별하며 독보적인 일이 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부분을 잘 짚어낸 동네책방이 동시에 그만큼 특별하고 독보적인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생생하면서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