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 : 서울이 들려주는 흥미진진한 옛날 이야기 신나는 교과서 체험학습 23
서울역사박물관 지음, 김창희 그림 / 스쿨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안녕하세요. 저는 오늘 이 책을 읽고 조선 시대 물가는 어땠을지 알아보겠습니다. 

시장에서 물건을 사려면 물건 값을 알아야 하고 돈도 있어야 해요. 조선 시대에는 물건 값이 어땠을까요? 여러분 가까이에 있는 책으로 가격을 비교해 보세요. 1575년<<고사촬요>>에 실려 있는 책값을 보면 <<논어>>라는 책은 면포 한 필 반이나 쌀 두 말 가격이었어요. 면포 한 필은 지금 돈으로 계산하면 약 4만원이니까 책값이 6만 원 정도였던 것이지요.  

책은 가격이 비싸서 아무나 살수 있는 물건이 아니었답니다. 그럼, 돈이 없어서 이런 면포나 쌀로 계산했을까요? 아니예요. 고려 때부터 은화를 만들어 사용했기 때문에 조선 전기까지도 은화가 곧 돈이었어요. 은화는 서울을 중심으로 유통되었고 주로 왕실과 관청, 지배층의 상인, 역관등이 이용했어요. 

하지만 서민 생활에서는 무명 천이 화폐의 가능을 담당했지요. 조선 전기에 법정 화폐는 종이로 된 화폐였어요. 이것을 저화라고 불렀지요. 그러다가 숙종 때 동전을 만들기 시작했는데, 바로 상평통보랍니다. 

아하! 그런데 상평통보가 무었이지? 알아보자 

상평통보 :  1633년(인조 11) 김신국()·김육() 등의 건의에 따라 상평청()을 설치하고 주조하여 유통을 시도했는데 결과가 나빠 유통을 중지하였다. 그후 1678년(숙종 4) 정월에 다시 영의정 허적(), 좌의정 권대운() 등의 주장에 따라 상평통보를 다시 주조하여 서울과 서북 일부에 유통하게 하였다. 그 뒤 점차 전국적으로 확대 유통하게 했는데, 조선 말기에 현대식 화폐가 나올 때까지 통용되었다.


조선시대의 화폐. 화폐는 구리와 주석의 합금으로 만들었으며, 모양은 둥근 엽전으로 가운데에는 정사각형의 구멍을 뚫고, 앞면에는 구멍을 둘러싸고 상하좌우에 '상평통보(常平通寶)'라는 한자를 한 자씩 찍었으며, 뒷면의 구멍 위에 주조한 관청의 이름을 박았다.

나는 오늘 이 책을 읽고 조선 시대 물가는 꽤 비싸고 물물교환으로 하다가 은화로 하고 또 동전을 만들게 되는 데 그것이 상평통보라는 것을 알았다. 나중에도 이런 책들을 많이 읽을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race 2012-11-02 08: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상평통보도 가짜가 있고 진짜가 있습니까? 어떻게 구분할수 있을까요?
만일 진짜면 가격이 얼마나 될까요? 회답 부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