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동네 소설상 제10회 수장작 = 고래




흥미롭게 읽다가 몰입된 어느날 저녁 마지막 페이지가 단숨에 넘어갔다.




참여하고 있는 독서모임 그룹에서

많은사람들이 추천한 책이었고,

특히 한분은 이렇게 까지 말했다.




"만약 지금까지 읽은 소설 중 딱 1권만 마지막으로 읽고 생을 마감한다면 천명관의 고래를 읽겠어요."




이정도의 극찬이 있을 수 있을까?




휘리릭 휘리릭 무슨 문체인지 잘 모르겠으나,

구어체이면서 무성영화의 변사가 말하는 방식으로 말하는 듯한 서술방식은

깊은 몰입감과 여운은 만들었다.




작가가 만들어낸 인물에 깊이 몰입하여 동질감을 느끼고

그들이 마음아팠을 상황에 함께 공감하며 나도 아픈듯 느낀다면,

그 작가는 충분히 성공했으며

명예로운 상을 수상할 만큼 업적을 이룬것임에 틀림없다.




그런인물 중 특히 이 케릭터가 하나가 매우 인상깊다.

등장 할 때마다 같은말의 반복이 지겹지 않고 오히려 구수하게 흘러가던 "칼자국"이 그렇다.




"희대의 사기꾼이자 악명 높은 밀수꾼에 부둣가 도시에서 상대가 없는 칼잡이인 동시에 호가 난 난봉꾼이며 모든 부둣가 창녀들의 기둥서방에 염량 빠른 거간꾼인 칼자국은 ......"




비현실적인 낭만주의 문학관에 등장하는 어린시절 보던 청춘만화 주인공 "까치"같은 인물

자신의 인생을 걸고 사랑한 여인에게 혼자 배신당했다고 느끼고(???),,, (바보같이)

비슷한 낭만적인 사랑을 대체할 다른 대상을 "금복"에게서 찾았으나

결국 이루지 못하는 권선징악의 형태의 결말을 맞이하는 낭만주인공

(나는 이런 케릭터에게 자주 몰입된다)




무척이나 재밌게 읽었고, 책읽는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문학동네 소설상 작품 캐비닛도 읽어보았는데,

고래는 10회 수상작, 캐비닛은 12회 수상작이다.

그런데 이 둘의 책이 비슷하다고 느껴진다.




파격적인 전개도 그렇고 황랑하고 쓸쓸한 마무리도 그렇다.

우리나라 소설에는 왜이렇게 비극이 많은걸까???

어쩌면 나만 비극이라 생각할 지도 모르겠지만




글을 읽었으면 글을 남기는 것이 당연한 것.

이렇게 생각해야 뭔가 남기는 독서를 할 수 있겠다.

이것도 끈기있게 계속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동네 소설상 제10회 수장작 = 고래




흥미롭게 읽다가 몰입된 어느날 저녁 마지막 페이지가 단숨에 넘어갔다.




참여하고 있는 독서모임 그룹에서

많은사람들이 추천한 책이었고,

특히 한분은 이렇게 까지 말했다.




"만약 지금까지 읽은 소설 중 딱 1권만 마지막으로 읽고 생을 마감한다면 천명관의 고래를 읽겠어요."




이정도의 극찬이 있을 수 있을까?




휘리릭 휘리릭 무슨 문체인지 잘 모르겠으나,

구어체이면서 무성영화의 변사가 말하는 방식으로 말하는 듯한 서술방식은

깊은 몰입감과 여운은 만들었다.




작가가 만들어낸 인물에 깊이 몰입하여 동질감을 느끼고

그들이 마음아팠을 상황에 함께 공감하며 나도 아픈듯 느낀다면,

그 작가는 충분히 성공했으며

명예로운 상을 수상할 만큼 업적을 이룬것임에 틀림없다.




그런인물 중 특히 이 케릭터가 하나가 매우 인상깊다.

등장 할 때마다 같은말의 반복이 지겹지 않고 오히려 구수하게 흘러가던 "칼자국"이 그렇다.




"희대의 사기꾼이자 악명 높은 밀수꾼에 부둣가 도시에서 상대가 없는 칼잡이인 동시에 호가 난 난봉꾼이며 모든 부둣가 창녀들의 기둥서방에 염량 빠른 거간꾼인 칼자국은 ......"




비현실적인 낭만주의 문학관에 등장하는 어린시절 보던 청춘만화 주인공 "까치"같은 인물

자신의 인생을 걸고 사랑한 여인에게 혼자 배신당했다고 느끼고(???),,, (바보같이)

비슷한 낭만적인 사랑을 대체할 다른 대상을 "금복"에게서 찾았으나

결국 이루지 못하는 권선징악의 형태의 결말을 맞이하는 낭만주인공

(나는 이런 케릭터에게 자주 몰입된다)




무척이나 재밌게 읽었고, 책읽는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리고 문학동네 소설상 작품 캐비닛도 읽어보았는데,

고래는 10회 수상작, 캐비닛은 12회 수상작이다.

그런데 이 둘의 책이 비슷하다고 느껴진다.




파격적인 전개도 그렇고 황랑하고 쓸쓸한 마무리도 그렇다.

우리나라 소설에는 왜이렇게 비극이 많은걸까???

어쩌면 나만 비극이라 생각할 지도 모르겠지만




글을 읽었으면 글을 남기는 것이 당연한 것.

이렇게 생각해야 뭔가 남기는 독서를 할 수 있겠다.

이것도 끈기있게 계속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
알랭 드 보통 지음, 지주형 옮김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프루스트를 좋아하세요](270p) - 알랭 드 보통

(독서를) 학문 분과로 먼드는 것은 단지 ‘자극‘에 불과한 것에 너무 큰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독서는 정신적 삶의 문턱 위에 있다. 그것은 우리를 정신적 삶으로 인도할 수 있지만, 정신적 삶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어의 온도 (100쇄 기념 에디션) - 말과 글에는 나름의 따뜻함과 차가움이 있다
이기주 지음 / 말글터 / 2016년 8월
평점 :
품절


[언어의 온도](121p) - 이기주

어제는 노트뷱을 켜고 ‘사람‘을 입력하려다가 실수로 ‘삶‘을 쳤다. 그러고 보니 ‘사람‘에서 슬며시 받침을 바꾸면 ‘사랑‘이 되고 ‘사람‘에서 은밀하게 모음을빼면 ‘삶‘이 된다.
몇몇 언어학자는 사람, 사랑, 삶의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같운 본류를 만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세 단어 모두 하나의 어원에서 파생했다는 것이다.
세 단어가 닮아서일까. 사랑에 얽매이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도, 사랑이 끼어들지 않는 삶도 없는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한산성
김훈 지음 / 학고재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남한산성](41p) - 김훈

겨울 새벽의 추위는 영롱했다. 아침 햇살이 깊이 닿아서 먼 상류 쪽 봉우리들이 깨어났고, 골짜기들은 어슴푸레 열렸다. 그 사이로 강물은 얼어붙어 있었다. 언 강 위에 눈이 내리고 쌓인 눈 위에 바람이 불어서 얼음 위에 시간의 무늬가 찍혀 있었다. 다시 바람이 불어서 눈이 길게 불려갔고, 그 자리에 새로운 시간의 무늬가 드러났다. 깨어나는 봉우리들 너머로어둠이 걷히는 하늘은 새파랬고, 눈 덮인 들판이 아침 햇살을 품어 냈다. 숲에서 새들이 날개 치는 소리가 들렸고, 잠깬 새들이 가지에서 가지로 옮겨 앉을 때마다 눈송이들이 떨어져 내렸다. 정갈한 추위였고, 빛나는 추위였다. 말발굽 밑에서 새로 내린 눈이 뽀드득거렸다. 말은 제 장난기에 홀려서 고삐를 당기지 않아도 앞으로 나아갔다. 말 콧구멍에서 허연 김이 품어져 나왔다. 김상헌은 폐부를 찌르는 새벽 공기를 깊이 들이마셨다. 몸이 찬 바람에 절여지며 시간은 차갑고 새롭게 몸속으로 흘러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