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부지 사회 - 성장을 거부하는 사람들
가타다 다마미 지음, 오근영 옮김 / 이마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실패를 딛고 일어서 다음을 계획하는 경험은 일찍 겪을수록 좋다. 젊을수록 재기가

 

쉽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수록 좌절에서 재기하기가 어려워진다.

 

3장에서 소개한 나카가와 쇼이치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는 젊을 때 엘리트로서

 

승승장구하며 한 번도 좌절을 맛본 적이 없었기에 나이 쉰이 지나고 나서 조우한

 

대상 상실을 견디지 못하고 쓰러져 버렸다.

 

아이의 반항기도 늦지 않게 찾아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자는 섭식 장애를 겪는

 

여성과 은둔형 외톨이가 되어 가정 폭력을 휘두르는 남성을 진료한 적이 있다.

 

환자의 부모는 "어릴 때는 부모님 말을 아주 잘 듣는 착한 아이"였다고 말했다.

 

비슷한 사례의 환자를 살펴보면, 유아기와 사춘기에도 반항기를 거치지 않고 넘어간

 

경우가 많았다.

------------------------------

가타다 다마미 교수님의 [성장을 거부하는 사람들 : 철부지 사회] 232쪽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누아르 만화 그리는 법 - 암울한 도시와 검은색의 마법 쉽게 배우는 만화 시리즈 24
숀 마틴브로 지음, 오윤성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14년 12월
평점 :
절판



얼굴은 독자의 시선을 사로잡는 요소다.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그림 중에

 

초상화가 많은 이유다.

 

인물의 눈은 분위기를 매우 효과적으로 조성해내며, 그 자체로 이야기를

 

전달할 수 있다. 얼굴의 미묘한 디테일 역시 많은 것을 전달한다.

 

여기에 강하고 극적인 광원을 더하면 책의 시작에 힘이 실릴 것이다.

 

검은색에 둘러싸인 얼굴은 매우 놀라운 이미지가 되기도 한다.

 

주인공의 클로즈업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표지 이미지를 만들어 보자.

 

여기에서도 앞에서 연습한 초상화 그림 실력을 십분 활용하면 된다.

---------------------------------------------------

숀 마틴브로 작가의 [누아르만화 그리는 법] 120쪽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이 리얼 모에 캐릭터 완전정복 : 코스튬편
이시하라 타츠야 지음, 카도마루 츠부라 그림 / 서울미디어코믹스(서울문화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헐렁임'과 '조임'의 대조적인 모에

 

작은 아이가 큼직한 옷을 입고 있으면, 그 헐렁헐렁한 느낌으로 인해 여자 아이의

 

작은 체구와 가녀린 모습 등 여자다움이 플러스되어 귀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남성용 Y셔츠를 입은 여자아이입니다. 남성과의 체격 차이를

 

드러내며 소매가 남아도는 모습은 매우 사랑스럽지요.

 

한편, 몸매에 딱 달라붙는 코스튬 또한 바스트 라인과 잘록한 허리 등 여성스러움을

 

드러낼 수 있습니다.

 

둘 다 코스튬의 중요한 모에 포인트이므로, 캐릭터와 코스튬에 따라 구분해

 

그리도록 합시다.

--------------------------------------------------------

이하라 타츠야, 카도마루 츠부라 작가의

[이것이 리얼 모에캐릭터 완전정복 - 코스튬 편] 120쪽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것이 리얼 만화작법서
윤지은 지음, 김미림 감수 / 서울문화사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에 육체노동이 필요한 농경사회의 한국에서는 '이야기'를 잘하거나


'이야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가난하게 산다고 하였는데 이와 같은 '이야기'는 현대에


와서 특히 시각적인 매체와 결합했다. 그 중 만화가 대표적이다. 현대에 접어들며


수십 년간 만화콘텐츠가 쌓이면서 만화 매체는 주목을 받게 되고 "그림으로 보여 지는


이야기(길거나, 짧거나)는 어떻게 독자에게 전달되는가"가 만화작가의 노하우로 


작용하게 된다. 하고자 하는 이야기가 그림으로 개연성과 논리적인 설득력을 가지고


펼쳐진다면 결국 많은 팬들이 당신을 응원해 줄 것이다.


기승전결(plot)이란 결국 전달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논리를 구성하는 방법이며,


서사구조에서 유래한 것이다. 아무리 만화가 허구이기에 계연성을 더 강조하는지도


모른다. 이야기의 논리가 잘 발달한 대표적인 나라, 영국이 <해리 포터>나 <나니아


연대기> 등을 오늘에 있게 한 것이다. 당시에 인기 있고 재미있는 만화가 베스트셀러는


되지만 스테디셀러가 되지 못한다면 이야기의 논리부족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

윤지은 작가님의 [이것이 리얼 만화 작법서] 71쪽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 실수에서 배우다 - 2030 여자들의 실용백서
피오나 지음 / 무한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런데 왜 결혼에서는 모든 것이 구속처럼 느껴질까요? 왜 결혼에서는 모든 것이


자유로워야만 진정한 자유인 것처럼 생각하는 걸까요? 결혼하면 시댁 행사에


얽매인다고 생각하지만, 싱글인 지금도 가정에 행사가 있으면 어느 정도 얽매입니다.


가정 행사에서 100% 자유로운 사람은 없습니다.


일상생활은 어떤가요? 정말로 하고 싶은 걸 하고 싶은 때 다 하고 사나요?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직장 상사 눈치 봐서 휴가 스케줄도 맞춰야 하고 엄마 눈치 보고


밤늦게 들어가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나마 어느 정도 자유롭다고 느끼는 것은


어렸을 때부터 엄마에게 크고 작은 거짓말을 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입니다.


엄마에게 MT를 간다고 하거나 여자친구들끼리 놀러 간다고 하고, 남자 친구와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을 것입니다. 

-------------------------------------------------------

피오나 작가님의 [여자, 실수에서 배우다] 87쪽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