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는 차별을 인간에게서 배운다 - 인간과 기술의 공존을 위해 다시 세우는 정의 서가명강 시리즈 22
고학수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에 대한 신뢰가 바닥을 치는 세상이다. 사람이 내린 판결을 믿지 못해 ‘AI 판사’가 등장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아지는 이 시대,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고학수 교수의 AI는 차별을 인간에게서 배운다는 AI가 인간의 대체제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이미 인공지능의 시대는 도래했다. 지금도 우리는 알게 모르게 우리의 빅데이터로 만들어진 세상 속에서 살고 있다. 앞으로 인간은 인공지능에 점점 더 의지할 것이고 이는 피할 수 없는 사회적 현상이 될 것이다. 아직 AI가 모든 걸 대체하지 못한 이 시기, 우리는 인간의 감정을 배제한 AI가 만능이 될 것이라는 환상에 빠져있다. 하지만 데이터를 세팅하고 레이블링 하는 것이 결국 사람인 이상 AI는 더 이상 과학자와 공학자들의 영역만으로 치부할 수 없다.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인해 인류의 삶은 이전보다 더 편리해졌지만, 그 데이터가 불러온 차별에 대해서도 이제는 공론화가 되어야 한다. 책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축줄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여러 전문 용어로 설명해 주었는데 찐문과에게는 여전히 어려운 영역이다. 아무튼 책에서 결국 하고 싶은 말은 인공지능과 인간이 어떻게 함께 공존하며 살아가는 것인가 이다. 이 기준을 명확히 세우지 않으면 편리함과 유용성의 논리에 속아 인간이 기계에게 종속되는 세상이 올 수도 있다는 섬뜩함이 들었다. 영화 속에서 나온 장면이 그저 영화적 허구라고만 생각할 때가 아닌거다.

인공지능은 분명 똑똑한데 종종 아직 인간만큼 똑똑하단 생각은 들지 않는다. 유투브 추천 알고리즘만 보더라도 이전에 쌓인 데이터를 기반으로만 추천해 줄 뿐, 그날 내 기분, 내 상황에 어떤 영상을 알고 싶어하는 지 알지 못한다(물론 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내 감정을 읽는 무언가가 나타나 더 알맞은 추천을 할 수 있겠지만). 회사에서 채용을 할 때 인간의 판단이 아니라고 해서 그 결과값이 공정할 수 있을까. 눈에 보이는 차별적인 요소를 배제하더라도 회사가 원하는 결과값을 충분히 낼 수 있다. 그것이 우리가 믿는 인공지능의 함정이다. 저자가 주장하는 건 과거로 회귀하자는 것이 아니다. 인공지능이 나쁘다는 것도 절대 아니다. 오히려 인공지능이 함유한 윤리적 차별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에 대해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진다. 결국 모든 건 다 사람이 하는 일이다. 기계는 사람이 하는 일을 편리하게 해주지만 스스로 차별을 만들어 내진 않는다. 막연히 인공지능에 대한 환상이 있는 이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동시에 어떻게 하면 가장 효과적으로 과학기술을 이용할 수 있을지, 이 시대에 필요한 윤리를 고민하게 해주는 책이다. 인공지능과 함께 살아갈 현대인이라면 꼭 한번쯤은 읽어보길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