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0년,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 - 대청 외교와 『열하일기』에 얽힌 숨겨진 이야기 서가명강 시리즈 16
구범진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서가명강 시리즈의 16번째 책, 구범진 교수의 『1780, 열하로 간 정조의 사신들』은 그간 우리가 어림짐작으로 오해(?)하고 있었던 열하일기에 대한 팩트체크를 면밀하게 한다. 사실 연암 박지원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열하일기인만큼 우리는 박지원이 당시 사신단에서 엄청난 역할을 했다고 오해하는데 실상은 깍두기(?)로 딸려간 처지였다니, 초입부터 엄청난 팩트로 내 기세를 팍 꺾는다. 물론 내가 열하일기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은 적은 없지만 일부 발췌독을 한 입장에서 보자면 정말 잡다하단 생각이 들만큼 온갖 것들을 상세하게 묘사했는데, 삼종형의 자제군관 자격으로 따라간 처지에 어떻게 이런 저술을 남길 생각을 했을까? 왜 그는 열하로 간 사신단의 일거수 일투족을 남기고, 퍼트리고자 했는지, 박지원이 열하일기에 나열한 내용은 다 사실일까? 란 대범하고도 발칙한 의문의 궁금증을 이 책에서 풀어준다.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배척했던 조선의 선비들이 박지원의 삼종형 박명원이 스님 판첸에게 건네받은 불상을 빌미로 봉불지사라고 규탄했는데, 박지원은 열하일기를 통해 이를 해명한 것이 주 목적(?)이라는 것이 신선했다. 박지원은 교묘하게 시간을 왜곡해 곤경에 빠진 박명원을 구명하려 한 것이다.

저자는 청나라와 조선의 외교관계에 주목하는 데 사실 조선 입장에서는 청나라와 굴욕적으로 화친을 맺었고, 청나라 입장에서도 조선이 그다지 성심껏 섬기는 것이 아니라는 걸 아는 만큼 양국간 감정이 그다지 좋지 않았다. 그러다보니 사신단이 와서도 꽤 심심한 일정에 갇혀 있다시피 시간을 보내기도 하는데, 새롭게 즉위한 젊은 국왕 정조는 청나라 황제의 칠순을 축하하기 위해 특별 사신단을 꾸려 보낸 것이다. 그의 정치력과 결단력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기 좋은 것 같다.

조선에서 열하까지, 길고 긴 행렬을 따라가며, 그곳에서 새로운 문물을 접하고 또 자신들이 받는 처우에 대해 박지원은 어떤 생각을 했을까. 정치적 이유도 있었겠지만 혈기왕성한 젊은피가 남긴 기록은 후대에도 널리 이어져 아주 중요한 유산으로 남아있다. 1780, 그해 열하에서 벌어진 일이 의미하는 상징적인 일들은 무엇인지 하나하나 추척하며 생각하니 고루하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박지원의 열하일기가 새롭게 느껴진다. 열하일기의 탄생비화에 얽힌 비밀이 궁금하다면, 그리고 열하일기를 일독하기 전에 사전지식이 필요하다면 꼭 이 책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치열하게 머리를 굴리는 피튀기는 외교전략도 덩달아 느껴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