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추구한 공리주의의 대표 사상가 중 한명인 존 스튜어트 밀은 벤담의 사상을 이어받아 발전시켰다. 벤담은 양적 공리주의를 표방했다면 밀은 질적 공리주의의 개념을 도입했다. 다시 말해 쾌락의 총합을 중요시 여긴 벤담과 달리 밀은 쾌락의 만족도에 주목했다. 그는 육체적 쾌락보다는 정신적 쾌락을 더 우월하게 보았으며, 이를 사회의 행복도 증진과 연관시켰다. 하지만 쾌락을 계량 가능한 수치로 변환시킨 밀의 사상은 쾌락의 정도가 수치에 잘 반영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을 품을 수밖에 없다. 행복이란 무엇일까? 사회 구성원의 행복도가 높다면, 나도 당연히 행복하다는 명제가 성립할 수 있을까? 소외받는 소수의 쾌락을 경시하는 공리주의는 뚜렷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아무리 세상 사람들이 행복하다 할지라도 내가 행복하지 않다면 그건 좋은 사회라 볼 수 없다. 책의 내용 자체가 많진 않은데 내가 난독인지 의심할 수밖에 없는 문장력이라(이건 번역의 잘못이 아님을 명시해뒀다. 밀이 잘못한거다!) 제대로 읽어냈다는 확신이 들진 않는다. 오히려 뒤에 수록된 해제와 작품 해설 덕분에 밀이 하고 싶은 말을 어렴풋이 이해할 수 있었다. 사회 구성원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나는 나의 행복을 중요시 여기다 보니 참 잔인한 학문이란 생각도 든다. 그런데, 나는 소수를 배려하며 살았는가에 대한 질문에 확답을 할 수 없는 걸 보니 점점 세상은 공리주의적 마인드가 당연해 진다는 무서운 생각도 든다. 해제와 작품 해설을 읽었으니 본문을 다시 한번 읽어봐야 겠다. 아마 내가 오해한 밀의 이야기가 한가득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