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로 읽는 사마천의 사기 3 - 전국 칠웅
이희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쟁이 끊이지 않던 춘추시대를 거치면서 제후국의 수는 줄고 각 제후국의 영토는 넓어진다. 칠웅 진, , , , , , 한은 주나라로부터 정신적으로 독립해 제후들이 스스로 왕이라 칭한다. (p11)

 

 

 

이희재 화백의 『만화로 읽는 사마천의 사기』 2권에서 춘추오패를 다뤘다면 3권은 전국시대 패권을 다툰 전국칠웅을 다룬다. 사마천의 사기를 읽다 보면 사람은 참 한결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는 걸 느낀다. 통치자가 방심하고 술과 여색에 빠져 방탕한 삶을 살 때 제 아무리 굳건한 권력도 모래성처럼 무너진다는 걸 역사가 아무리 말해줘도 권력을 잡으면 나는 다를 거라는 착각에 빠지는 걸까.

 

 

 

권력을 위해 제 어머니의 장례식도 무시하고, 제 아내를 죽이는 것도 불사한 오기의 비정함에 눈살 찌푸려지다 가도 모든 걸 다 바쳐 탐한 권력이 한 순간에 무너지는 걸 보며 통쾌하기도 하고, 안타깝기도 했다. 그렇게 해서 그가 얻은 건 무엇일까? 오기의 잔혹한 성품을 미루어 볼 때 그가 자신의 선택을 후회했을까 의구심이 들긴 하다만 썩 행복한 삶은 아니었을 것 같다.

 

 

 

위나라 상앙의 형벌 통치는 백성들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는 데는 유익했지만 결국 자승자박이 된다. 재상이 되어 엄격한 규율로 백성들을 공포에 몰아넣은 것이 결국 그를 옭아맨다. 국가는 백성들의 삶에 어디까지 개입해야 하는가? 사기에서도 그러하고, 많은 역사서에서 자신의 나라 임금이 누군지도 모르는 요순시대를 최고의 이상향으로 꼽는 걸 보면 지나친 억압과 규제는 백성들의 삶을 윤택하게 할 수 없다는 걸 이미 경험으로 알고 있는 것 같다. 하지만, 춘추전국 시대가 끝나고 오늘날 까지도 이미 역사가 증명한 사실을 역행하는 통치자들이 있다는 건 안타깝다. 결국 자신의 권력 유지를 위한 수단 그 자체가 아닌가.

 

 

 

사마천의 사기를 읽다 보면 권선징악을 잘 표현한 것 같다. 이 책에서 나쁜 짓을 한 놈은 결국 벌을 받는다. 물론 세상이 항상 그렇게 흘러가지 않다는 걸 이제는 잘 알지만, 군자의 복수는 10년이 걸려도 늦지 않는다는 말이 괜히 나온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 찬란하게 빛나는 것 같아도 인생은 길게 봐야 하니 말이다. 그런데, 세상 사람들의 칭송을 받는 현자가 통치를 한다면 그 태평성대가 영원할 수 있을까? 힘의 논리로 국운이 좌지우지되는 혼란한 춘추전국 시대에 이 논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 다만 동맹으로 정국을 안정시키려 했던 소진의 노력이 그의 사후 너무 쉽게 무너지는 걸 보면 국가간 정치가 얼마나 비정한지, 서로간 이해관계를 합치하는 것이 얼마나 허무맹랑한 소리인지 다시금 깨닫는다. 결국, 강력한 군사력만이 강력한 힘이 되어 그 어느때보다도 병법서가 중요해진다. 살아남는 게 이렇게 힘겨운 걸까. 왜 혼란스러운 시대를 일컬어 춘추전국시대라 부르는지 절절히 느낄 수 있는 책이다. 만화로 읽으니 부담없이 역사책을 접할 수 있어 참 좋다. 언젠가는 꼭 빡빡한 글로 써진 사기 완역본을 도전해 보고싶다!   

 

 

 

"본 서평은 부흥 카페 서평 이벤트(https://cafe.naver.com/booheong/196301)에 응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