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라는 발명 - 1572년에서 1704년 사이에 태어나 오늘의 세계를 만든 과학에 관하여
데이비드 우튼 지음, 정태훈 옮김, 홍성욱 감수 / 김영사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과학은 튀코 브라헤가 신성, 새로운 별을 관찰했던 1572년과 뉴턴이 그의 <광학>을 출간했던 1704년 사이에 발명되었다. (p12)

과학이란 무엇일까? 지금 우리가 과학 하면 떠오르는 물리, 생물, 화학과 같은 학문들을 과학이라 통칭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무려 1000페이지에 육박하는 데이비드 우튼의 『과학이라는 발명』은 학문적으로 과학이란 무엇인가를 논의하는 것이 아닌 말 그대로 과학의 역사를 거시적으로 훑는다. 찐문과생인 나는 책 제목만 보고 당연히 과학책 일거라 예상했는데 역사학자가 쓴 역사책이라는 것이 흥미로웠다. 과학사를 저술하는 건 누구의 몫인가? 과학자인가, 역사학자인가? 같은 사건도 두 학자간 바라보는 시선이 다르기에 둘 다 과학사를 집필할 자격은 있다지만 뭔가 밥그릇 왠지 모를 밥그릇 싸움이 느껴 지기도 했다.  

마술은 과학으로, 신화는 사실로,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과학은 우리의 철학과 과학으로 인식될 만한 무언가로 대체된(p26) 1600년에서 1733년경을 살아간 엘리트들이 겪은 혼란은 지금껏 자신이 알아왔던 모든 것을 부정당하는 느낌이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학은 발명하는 건가 발견하는 건가? 1572년 이전에 사람들이 살아온 세상과 소위 근대 과학이 발명된 시기를 살아간 과학자들의 상황은 너무 달랐다. 애당초 과학자가 돈 벌이를 할 수 있는 직업으로 인식되지도 않던 시절도 있었다. 천문학의 발전으로 지금껏 주류 사상이었던 신 중심의 사고가 부정당한다. 새로운 과학을 주장하는 과학자들은 이단으로 몰리기도 한다. 그렇다면 이 시기에 대체 어떤 일이 있었기에 인류는 과학혁명으로 나아갈 수 있었을까? 아니, 애당초 17세기에 일어난 과학 혁명은 실존하는 개념일까? 저자는 이 책을 통해 과학 혁명을 부정하고 이 시기에 일어난 변화를 과소평가하는 이들의 주장을 타파한다.

과학을 언어적으로 접근해 이 단어에 대한 정의가 언제부터 형성된 것인지, 어떤 의미를 담아 발전해 온 것인지 하나하나 뜯어보기도 한다. 문과생이지만 문사철과 거리가 먼 내게는 마치 철학책을 읽는 듯한 느낌이었다. 책 속에 익숙하게 등장한 인물들의 업적을 여전히 말할 수 없는 나의 무지함이 안타까웠다. 이 사람이 과학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은 알겠는데 그 발견이 왜 위대한 건지 잘 상상이 되지 않으니 조금 막연하게 느껴지기도 했다. 결국 저자의 주장은 지금 우리가 생각하는 과학은 발명된 것이고 이 역시 독자적으론 해낼 수 없는 과업이었다, 정도로 이해하면 되지 않을까. 혼동해서 쓰던 언어들을 하나하나 정의해 더 혼란스럽게 만들었지만 막연히 나는 몰라도 된다고 생각했던 부분들을 다시 되짚어볼 수 있는 책이다.

과학-연구 프로그램, 실험적 방법, 순수 과학과 새로운 기술의 연결, 해체 가능한 지식의 언어-1572년과 1704년 사이에 발명되었다. 우리는 여전히 그 결과와 함께 살고 있다. 그리고 인간은 항상 그러할 것으로 보인다. (p78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