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밀밭의 파수꾼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3
J. D. 샐린저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아득한 낭떠러지 옆에 서 있는 거야. 내가 하는 일은 누구든지 낭떠러지에서 떨어질 것 같으면 얼른 가서 붙잡아주는 거지. 애들이란 달릴 때는 저희가 어디로 달리고 있는지 모르잖아? 그런 때 내가 어딘가에서 나타나 그 애를 붙잡아야 하는 거야. 하루 종일 그 일마 하면 돼. 이를테면 호밀밭의 파수꾼이 되는 거야. (p256)

 

성장소설의 대명사로 불리는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샐린저의 호밀밭의 파수꾼, 무릇 성장소설이 그러하듯 이 책 역시 참 난해하다. 내가 꼰대가 된 건지 사회 부적응자를 포용하는 넓은 마음이 없는 건지. 이 책의 주인공 홀든 콜피드는 분명 나쁜 아이는 아니다. 남들보다 조금 더 예민하고, 호기심 넘치며, 감수성이 풍부할 뿐이다. 하지만 다른 사람들은 묵묵히 지나칠 수 있는 것들에 민감하게 반응해 유별나다는 평을 들을 법한 아이다. 작가의 이력도 퇴학으로 가득한데 주인공 역시 퇴학을 밥 먹듯이 당한다. 공동체에 익히 적응할 수 있는 성격은 아닌듯하다. 내가 너무 세상에 찌들었는지, 위선적인 세상을 견디지 못하는 홀든의 돌발행동이 참 답답하게 느껴진다. 다들 그러고 사는 거 아니겠어? 홀든의 주변에는 그를 괴롭게 하는 사람들만 가득하다. 그런데 또 마땅히 미워해야 할 상황에서 마음껏 미워하지 못하는 여린 마음을 보면 애는 애구나 싶고. 동생을 지극히 아끼는 그 마음이 너무 예쁘다. 안타까운 건 결국 아이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부모의 사랑과 관심이라는 거다. 아마 그의 부모가 홀든과 아이들에게 조금만 더 관심이 있었더라면 그의 천진난만하기만 할 그의 청소년 시절이 이렇게 온갖 우여곡절을 겪지 않았겠지.

 

다만 그 수호자의 역할을 자신이 하겠다며 호밀밭의 파수꾼을 자처하는 그의 대사를 보며 이 책의 제목이 지닌 의미를 알게 되었다. 홀든에게 호밀밭의 파수꾼이 있었다면 그의 삶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안락한 가정에서 사랑만 받으며 자라도 모자랄 한 아이가 너무 세상에 일찍 내던져져 죽음 너머의 삶까지 생각하는 대사를 보며, 내 마음이 미어진다. 여동생 피비 덕분에(?) 그는 완전 나락으로 추락하진 않지만 여전히 끝 맛이 씁쓸하다. 이것이 해피엔딩인걸까. 나는 잘 모르겠다. 10대 소년의 삶 치곤 너무 스펙터클해 비교적 평탄한 삶을 살았던 나는 참 뭐라 해야 할지 모르겠다. 도대체 작가는 어떤 삶을 살았는지 궁금해지는 책이다. 어떻게 이런 책을 쓸 수 있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