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왕자>로 본 번역의 세계
이정서 지음 / 새움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진정한 어린왕자를 알고 싶다면

 

솔직히 이 책을 읽고 나서 어린왕자가 어떤 내용인지는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읽지는 못하지만 프랑스어 원문을 그대로 삽입해 그 옆에 한국어 번역본이 실려 있다. 구성 자체로 보자면 번역에 신뢰가 갈 수 밖에 없다. 실제로 내가 비행기 조종사와 어린왕자가 된 듯 한 원문에 충실한 번역은 지금까지 내가 알지 못한 어린왕자를 알려주었다.

 

어린왕자는 상당히 얇은 책인데 이 책은 400페이지에 육박한다. 이 책의 번역가인 이정서 대표님이 번역에 대한 코멘트를 달았기 때문이다. 이 책이 어린왕자가 아니라 <어린왕자>로 본 번역의 세계라 명명된 이유다.

 

한때 영어 번역봉사를 했었는데 영어 실력과 상관없이 타국의 언어를 우리의 언어로 바꾸는 건 쉬운 작업이 아니다. 직역으로 번역을 하다보면 해괴한 문장이 나오기 때문에 최대한 그 뉘앙스를 담아 의역을 주로 하게 된다. 서로 다른 문화권에 1:1로 일치하는 문장을 만들 수도 없거니와 그렇게 한다면 독자에게 상당히 불친절한 책이 될 것이다.

 

나는 지금까지 그렇게 생각하고 믿어왔다. 하지만 직역의 감동을 강조한다. 또한 1:1 직역이 불가능 것이 아님을 이 책을 통해 증명해낸다.

 

솔직히 난 프랑스어를 모르기 때문에 번역가의 노트에서 그간 잘못된 번역을 지적할 때 그렇구나, 라는 말 밖에는 할 말이 없었다. 그런데 읽다보니 점점 거침없는 발언을 게의치 않는 번역가가 상당히 걱정되었다. 이미 때 지난 논쟁이지만 역시나 이정서 번역가의 번역은 뜨거운 감자였다. 자신의 번역이 맞다는 것을 주장함과 동시에 기존의 번역가들의 번역을 전면 부정했으니, 논란이 되지 않을 수가 없을테다. 천만다행인건 새움출판사 사장님이시라 밥벌이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된다는 정도일까.

 

이 책을 통해 번역가의 소신을 알 수 있었고 이전까지의 번역을 비교해가며 읽는 재미는 쏠쏠했다. 번역가의 소신이란 무엇일까 생각해보기도 했다. 하지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무언가가 불편했다. 이 감정이 무엇일까, 솔직히 나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