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력 - 권기태 장편소설
권기태 지음 / 다산책방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어렸을 때 대한민국은 최초의 우주인이 탄생한다는 소식에 들썩였다. 초등학생 때였던 것 같은데 매일같이 tv를 켜면 신비로운 우주와 우주인에 대한 이야기로 가득했다. 특히 결과가 발표되었을 때 그는 우리에게 있어 연예인보다도 더한 존재였다. 지금은 까마득하지만 그 당시의 분위기는 어린 소녀에게는 감히 우주를 꿈꾸게 했다. 지금 과학과는 전혀 먼 삶을 살면서도 우주와 관련된 교양과목을 들으며 아련한 추억에 빠지곤 한다.

 

수천억 원의 세금을 쓰고 고작 우주 관광하러 다녀온 최초의 우주인 프로젝트는 거센 비난을 한 몸에 받았다. 하지만 나는 그 프로젝트가 의미 없다 생각하지 않는다. 나와 동시대를 살았을 누군가는 분명 그 떠들썩한 분위기에서 미래의 우주인을 꿈꿨을 테니 말이다.

 

관찰자 시점에서 바라본 한국 최초의 우주인 프로젝트는 정말 흥미롭고 어린 아이에게 꿈을 꾸게 했다. 하지만 <중력>을 읽으며 단 한사람에게만 부여된 영광의 타이틀을 쟁취하기 위해 살얼음판을 걷는 당사자들의 마음을 간접적으로나마 느껴볼 수 있었다.

 

누군가에게는 단순 유흥거리였지만 그들에게는 평생의 꿈이었을 테다. 그 자리를 얻기 위해 얼마나 간절했을까. 동료애로 똘똘 뭉친 순간에 함께할 수 있어 힘이 된다는 위안을 얻으면서도 경쟁자기에 상대의 실수를 바랄 수밖에 없는 그 모순된 상황 속에서 인간다움을 지킨다는 건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닐 테다.

 

하지만 <중력>의 주인공은 해낸다. 자신의 일평생의 꿈, 아니 어린 나이에 별이 된 동생의 염원을 우주에 담았지만 그는 무엇이 중요하지 사리분별이 분명했다. 소설을 읽는 내내 조마조마했다. 나라면 어땠을까? 한번만 눈을 질끈 감으면 간절히 바라던 것을 쟁취할 수 있을 텐데. 그 숱한 유혹을 뿌리칠 수 있을까? 그의 의지력과 정의로움에 눈물이 났다.

 

나는 승자가 아니라도 좋았다. 승자보다 더 승자다운 것, 승자의 됨됨이를 지니는 것, 그래서 미더움을 주고 소박한 정을 나누는 것이 더 소중했다(p394).

 

한국 최초의 우주인으로 선발된 분은 고산씨였다. 비록 최초의 우주인이란 영예는 다른 이에게 넘어갔지만, 당신은 이 신념을 지키신 건가요. 지금껏 잊혔던 그 이름을 끝없이 찾아 헤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