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사고의 힘 5W1H
와타나베 고타로 지음, 안혜은 옮김 / 21세기북스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5W1H, 일명 육하원칙.

너무 어렸을 때부터 당연하게 배운 거라 어떤 일을 계획할 때 꼼꼼하게 육하원칙을 따져서 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기본이 이렇게 어려운거다. 복잡한 일을 복잡하게 만드는 건 쉽다. 하지만 복잡한 일을 단순하게 치환하여 알기 쉽게 사고하고 생각하는 과정은 생각 외로 어렵고 익숙하지 않다.

 

<단순한 사고의 힘 5W1H>를 읽기 전까진 내 나름 논리적인 사람이라 자부했다. 감성보다는 이성을 앞세우고, 어떤 일을 실행하는 절차에서 가장 중요한 건 어떻게라 생각했다. 하지만 어떻게를 중시하다보면 중간 중간 빈틈이 생긴다. 수단과 방법에 초점을 맞추다보면 내가 이걸 왜 하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다. 그렇지만 이미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작업을 마쳤기에 모래성을 쌓는 걸 알고 있지만 멈출 수 없다. 책을 읽는 내내 사람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 보다 논리적이지 않다는 걸 인정할 수밖에 없어진다.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앞서 어떻게 되고 싶은가로 회귀한라(p52)는 저자의 조언은 소위 자신이 논리적이라 믿지만 큰 성과를 내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조언이 아닐까 싶다. 이들은 시야의 중심이 고차원적이지 못한 아래단계에만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보다는 어떻게 될 것인가를 고민할 때 고차원적인 Big-Why 사고를 할 수 있다, Big-Why는 내가 지금까지 무심코 했던 혹은 바라는 행위의 본질을 생각해보게 한다. 결과 그 자체에 포커싱을 하는 것이 아니라 왜 그 결과를 바라는지에 대한 탐구는 수단의 목적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득력 있는 로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Why-How’가 필요하다. 왜 이것을 (Why-What), 왜 내가(Why-Who), 왜 지금(Why-When), 어떻게(How) 할 것인지에 대한 답을 준비한다면 주요 논점에 빗겨나가지 않고 설득력 있는 제안을 할 수 있다. 3W+1H 조합은 상대의 머뭇거림이 프로세스상 어디에 걸려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상대가 행동하기까지 어느 정도 거리가 있는지를 짐작할 수 있어 어느 정도 설득이 필요한지도 알 수 있다. 꼭 이 세 가지 질문 형태로 전략을 세울 필요는 없지만 이러한 절차는 의 관점에서만 머물러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생각하는 것을 도와준다.

 

우리는 뭔가 대단한 이론을 배우면 지금까지와 다른 변화를 이뤄낼 수 있을 거라 믿는다. 단조로운 일상 속에서 특별한 기술의 습득이 나를 돋보이는데 영향력을 끼친다는 걸 부정하는 건 아니다. 하지만, 우리가 어렸을 때 배운 5W1H를 제대로 실행하고 적용하고 있는지, 새로운 것을 찾기 전에 익숙하고 당연한 것을 실천하고 있는지부터 뒤돌아봐야 할 것이다. 아마, 당신은 5W1H 중에서 내가 생각하기 편한 것만 적용하고 많은 것을 버리고 있을 것이다. 지금부터라도 기본으로 돌아가려는 마음가짐을 체득하지 않는다면 발전은 없을테다. 성과를 내고 싶은가? 단순한 사고의 힘을 믿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