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 가쁜 추적 - 코로나19는 어디서 왔는가?
데이비드 쾀멘 지음, 유진홍 옮김 / 군자출판사(교재) / 2025년 9월
평점 :
‘팬데믹에서 내가 발견한 것들’
_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제 코로나 19가 공식적으로 종료된지 2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습니다. 어느새 팬데믹에서 더이상 전염병이 없을것 같이 보이는 평온한 일상입니다. 그러나 장담컨데 분명히 수년안에 ‘호흡기’성 혹은 ‘전염’질병은 다시 창궐할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질병이 창궐할때 ‘상식적’으로 대처하는 것입니다. 이미 오랜시간이 지났지만 저는 코로나 19당시에 판단했던 것들을 후회하지 않고, 동일하거나 색다른 질병이 와도 동일하게 대처할 것입니다. 의료인의 시각에서 바라본 데이비드 쾀멘의 <숨가쁜 추적>을 보면서도 마찬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서적 제목 그대로 본서는 팬데믹 창궐의 시작 전후로 그 발발요인을 추적하는 서적입니다. 등장인물이 너무 많아 이름을 기억하지 못할만큼 많은 인물이 등장하지만, 핵심적인 것은 이런 호흡기성 질환이 등장하게된 과학적 요인과, 질병감염의 원인이 된 병원체들을 끊임없이 검증해가는 절차입니다. 결론적으로 <숨가쁜 추적>을 했음에도 본서에 등장하는 많은 의사와 과학자들은, 코로나 19의 원인을 100% 규명하지는 못했습니다. 분명한 것은 우한에서 발병했다는 것이고(시장은 확실합니다), 인수공통전염병이라는 것이며, 전염을 거듭할 수록 변이가 약해져왔다는 것입니다. 그 외에는 전부 불확실성에 가정해야합니다.
이러한 팬데믹 창궐에 있어, 저는 여전히 몇가지 소신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절대로 백신(Vaccine)이 100%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합니다. 코로나 19의 유행병 당시 저는 아무리 RNA합성기술이 신기원을 이뤘다고 해도 제대로 된 ‘상식적인’ 임상절차를 받지 않은 백신이 효과적이라 믿지 않았고 그것은 지금도 여전하다고 생각합니다. 둘째, 코로나 19당시 SARS가 유행을 했지만, 당시를 가볍게 넘어간것이 전인류적인 피해를 크게 했다는 사실입니다. 단순한 유행병이 돌고돌아 코로나 19같은 팬데믹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셋째, 군중심리에 휩쓸릴이유가 없습니다. 코로나 19당시 저는 규율이 아닌 집단의 ‘강제’를 통한 조치가 어떤 부작용을 낳는지를 아주 잘 확인했습니다.
다시 강조하지만, 분명히 다음 팬데믹이 올것이고, 이것은 코로나19당시 추정했던 박쥐도 천산갑도 표범도 아닌 다른 생물일 수 있고 심지어는 인간을 통해 발병될수도 있습니다. 생물이 사는 환경이 변화하고, 사람들이 만든 화학물질들이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당연한 부작용이라 생각됩니다. 어떤 상황이 와도 ‘상식적’으로 그리고 군중심리가 아닌 이성적인 방향으로 원인을 추적하고, 그것에 대한 대응을 마련하는게 ‘인간’이 해야할 일입니다. 남들이 다 한다고 따라가고, 군중심리와 다르다고 매도하는게 아닌 이성적인 합리성을 따라가야한다는 것을 <숨가쁜 추적>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상식적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