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크로소프트 혁신의 비밀 - 내부자가 파헤치는
딘 캐리그넌.조앤 가빈 지음, 이윤진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5년 10월
평점 :
*춢판사를 통해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현 시점에 미국 정부보다 신용도가 높은 기업은 전세계 딱 2곳입니다. 하나는 존슨앤존슨(티커명 JNJ) 그리고 또 하나의 기업은 아마 출근시간에 대부분 관련 소프트웨어를 열었을 마이크로소프트(티커명 MSFT)입니다. 이 두개의 기업은 무디스 기준 회사채가 AAA로 가장 높은 신용등급을 가지고 있습니다(원래 애플도 속해있었으나 현 시점에서는 미세하게 한등급 낮아졌을 겁니다) 잘 생각해보시면 이 두기업의 공통점이 몇가지 있습니다. 하나는 다수의 사람들이 하루의 시간을 보낼때 이들의 제품을 사용한다는 것이고, 두번째는 산업카테고리안에서 끊임없이 무언가를 개발해오고 그것의 이용자가 늘어났다는 것입니다. 그것을 ‘혁신’이라 부를 수 있을텐데 <내부자가 파혜치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혁신>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그것을 바라보는 서적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생각보다 상당히 많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적인 시도를 한 기업입니다. 그 중에는 시장지배 그 이상을 한 제품도 있고, 화제성 대비 묻혀진 것들도 있죠. 전자는 대표적인 window, MS Office와 아웃룩이 될 것이고, 후자는 bing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미치면서 아직 예측 불가한 VS Code나 xbox등도 있습니다. 이들은 성공작이라고 봐야하지만, 전자처럼 앞으로도 지속될지는 좀 더 지켜봐야합니다. 그리고 MS의 다음 도전은 누구나 알 인공지능입니다. 코파일럿과 성공적인 소프트웨어를 넘어 어떻게 사람들의 ‘시간’들을 지배할지는 지켜봐야 알 일이지요.

본서의 저자는 20년넘게 MS의 혁신과 함께하며 성공의 기반은 ‘구조적 혁신’에 있다고 합니다. 이 구조적 혁신이라는 것은 결국 회사가 갖고 있는 강점을 보완하며 목표를 성정하고, 이 목표에 맞는 인재를 채용하고, 프로세스를 계속 개선하면서 고객확보를 하는 것이죠. MS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가장 크게 느끼는 점은 프로세스나 인재채용은 아닌 제품 업데이트와 새로운 소프트웨어라고 체감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가 짜증나긴 하지만,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결국은 불필요한 시간단축을 해줬고, 엑셀을 쓰면서 파이썬과 코파일럿 연계는 생산성이 높아졌고 코딩을 위한 VScode의 활용은 알게모르게 새로운 도전과 차별화된 역량을 갖게 해줬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자가 말하는 구조적 혁신에서 프로세스 개선과 제품 개선에는 찬성할 수 밖에 없습니다.
과거 잡스에 버금가는 (혹은 그 이상의) 빌게이츠를 통한 새로운 산업 태동, 그리고 논란이 된 스티브 발머의 구조조정과 재무개선, 그리고 순다 피차이를 통한 인공지능과 MS생태계 구축이후 마이크로소프트의 혁신이 어떻게 될지, 저 역시도 큰 기대가 됩니다. 다만, 기업은 규모가 커질수록, 그 안에서도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게 되고, 지금은 다들 인공지능 투자를 통한 전쟁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Open AI와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MS의 앞으로의 다음은 무엇이 될지 모르지만, 결국 갖고 있는 자원에서 고객의 시간선점을 해야하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어떤 기업과 전쟁을 할지 눈에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