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크로스킬 - 작은 행동으로 확실한 변화를 일으키는 89가지 일의 디테일
아다이라 랜드리 외 지음, 김경영 외 옮김 / 푸른숲 / 2025년 7월
평점 :
🙋♂’회사생활에서 살아남는 생존스킬?’
_
시작부터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자면, 회사생활에서 살아남는 절대적인 스킬은 별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회사생활은 일단 2가지만 잘하면 기본은 먹고들어갑니다. 첫번째는 역량이 있어야하는거죠. 급여를 받고 성과를 내는 곳이니까요. 달리말하면 일 잘하면 어디든 수요가 있습니다. 두번째는 혼자가 아니라 여럿이 일하는 공간임을 인지하면 됩니다. 그러니 근태, 비용관리,, 예의 지키기, 말조심, 협업정도의 상식을 인지하고 이 두가지만 있으면 회사 자체가 심각한 문제가 있지 않는 한은 생존의 고민은 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에서 좀 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으면서 일하고 싶다면 <마이크로스킬>은 그 때 의미가 있는 서적이 될 수 있습니다.
본서는 공동저자의 경험과 노하우에 따른 조직생활에서 쓸모있는 89가지 스킬을 소개하고, 왜 해당 스킬이 필요하고, 이를 만들기 위해서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지 얘기합니다. 다음에 제가 할 말은 다들 아시겠지만, 이런 스킬들은 전부다 내 것이될 수 없음을 인지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니 모든 스킬을 흡수한다는 욕심은 버리고 최소한 소화할 수 있는 것, 혹은 나의 팀이나 조직에서 필요한 스킬이 무엇인지, 아니면 내가 배우고 싶은 아니면 되지 말아야겠다는 스킬이 무엇인지정도를 확인하고 조금씩 늘려가는 방법을 쓰는 게 훨씬 더 중요합니다.
89가지 스킬모두 아주 좋은 얘기들이지만, 직장인으로서 제가 아주 공감하는 내용 중의 첫번째는 ‘강제된 휴식’을 가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사람은 모든 일을 할 수 없는데 오늘 못해도 내일 일은 또 해야하니까 나에게 에너지를 보충할 시간을 줘야 회사생활을 더 잘할 수 있습니다. 엄청 당연한 얘긴데 정말 중요하다고 봅니다.안그러면 악순환에 빠지니까요 두번째는 사내의 의사소통 구조를 파악하는 것이죠. 보고체계나 사내 내규나 규정등의 ‘명문화’된 프로세스를 알고 이를 준수하는 것이 생각보다 중요합니다. 그리고 이런 보고쳬계없이 부서마다 중요한 키맨들이 있지요. 업무처리를 부드럽게 하기위해서는 이런 키맨들과 좋은 관계를 맺어야 서로 소통하기 아주 원활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안되는 일은 질질 끌지말고, 정확히 안되는 이유를 보고하고 정리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묵히는데 진행이 안되는 업무는 결국 본인에게 손해로 돌아옵니다. 설령 지금 내세울 결과물이 부족하지만, 조직장의 입장에서 폭탄같은 일은 위험해보이고, 진척이 안되는 일은 업무효율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니까요.
회사나 기관등의 조직은 다시 말하지만 혼자서 일하는 공간이 아닙니다. 특히 조직이 비대할 수록 개인의 역량보다도 때로는 마이크로스킬이 더 큰 위력이 발휘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 마이크로스킬에 의존하면 정치질’만’하는 사람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제일 좋은 것은 본업의 역량이 평균이상인데 이런 마이크로스킬까지 겸비하는 ‘사회생활센스’를 가져야 하는 것이겠죠. 본서를 보면서 본인에게 필요한 센스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면 좋겠습니다.
‘작은 습관이 마이크로스킬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