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죽을 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 멋지게 나이 들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인생의 기술 53
이근후 지음, 김선경 엮음 / 갤리온 / 2013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정신과 의사라는 직업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온갖 사람들의 가슴 속에 쌓여있는 응어리와 문젯거리들을 만나고, 보통 상식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사람들과도 일상적으로 부대껴야 할 것이다. 의미있고 보람있는 일이겠지만 제각기 다른 사람들의 아픈 마음을 들여다보고 치료한다는 일의 스트레스는 적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저자는 50년간 정신과 전문의로 환자들을 돌본 세월을 회고하며 재미있었다고, 지나온 삶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매번 완치 불가능성에 속상해하며 의사로서 죄의식을 느껴야 했다면 아마 나부터 정신과 치료를 받아야 했을 것(164쪽)'이라고 말하며, '모든 환자에게 100퍼센트 정상인처럼 행동하는 완치를 기대하기보다, 어떤 환자에게는 단지 조금 나아지는 것이 100퍼센트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받아들였기에 환자를 진심으로 대할 수 있었다(164쪽)'고 한 이야기가 마음에 남는다. 아마도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기꺼이 마음을 나눠주고 작은 변화에도 관심을 보여주는 인간적인 의사였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재미라는 것이 무엇일까. 현대인들은 외부에서 주어지는 재미에 익숙해져 있고, 그 재미는 갈수록 다이내믹해져서 왠만한 재미에는 눈하나 깜짝하지 않는 지경에 이르렀다. 영화관의 특수효과들은 갈수록 화려해지고 놀이공원의 기구들은 갈수록 더 짜릿한 스릴을 강조한다. 하지만 자신의 일상에서 재미와 즐거움을 발견하고 살아가는 사람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그런 의미에서 재미에 대한 노학자의 소박한 철학은 깊이 음미해볼 만 하다.
그는 '무엇이든 재미를 택하려고 애썼다(5쪽)'고 한다. 하지만 이것은 재미있는 일만 선택했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신이 해야 할 일을 재미있는 쪽으로 만들어가고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해도 재미있게 그 일을 해낼 것이라고 생각하고 행동했다는 의미였다. 그는 좁은 진료실에서 하루 종일 환자들이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쏟아내는 아픔과 슬픔을 듣다보면 자신의 마음도 커다란 쇠공을 매단 듯 무거워졌다고 고백한다. 자신이 그들을 완벽하게 낫게 해 줄 수 없다는 데서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이었다고. 하지만 역시 생각을 바꾸니 모든 것이 변화했다. 조금이라도 환자들을 나아지게 하는데 재미와 보람을 찾기로 한 것이다. 그는 정신과 폐쇄 병동을 개방 병동으로 바꾸고, 환자들이 속마음을 털어내는 사이코 드라마를 시도하고, 체력 단련실을 만드는 등 일을 만들어가며 신이 났고 즐거웠단다. 이렇게 그는 '재미있었기 때문에' 30년 동안 네팔에 의료 봉사를 하고, 40년 동안 보육원에서 아이들과 놀아주고 있다는 것도 인상적이었다. 자신의 마음의 소리에 진심으로 귀 기울이며 꾸준한 실천의 끈을 놓지 않고 살아온 사람의 노후가 얼마나 아름답고 풍성한가를 느낄 수 있었다.
평균 수명이 늘어나면서 은퇴 후의 삶에 대한 준비에 대한 우려의 소리가 높다. 하지만 안타까운 것은 노후 준비가 너무 재정적인 측면에서만 다루어지고 있지는 않나 하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물론 나이 듦에 대비한 경제적인 준비는 필수적이고 중요한 것이겠지만, '나는 어떻게 나이들어 갈 것인가'는 자신의 노후의 가치와 의미에 대한 고민과 성찰은 꼭 있어야 할 것이다. 그렇게 충실히 마음의 준비를 통해 노년의 삶을 그려가는 이에겐, 나이 드는 것이 두려움만으로 다가오지는 않을 테니.
먼저 인생길을 밟아온 선배가 한 잔 차를 나누며 나직하게 들려주는 이야기처럼, 따뜻한 공감과 배움을 얻을 수 있었던 좋은 책이었다. 그는 목소리를 높이거나 섣불리 가르치려 들지 않고 편안하고 담담한 목소리로 말해준다. '삶은 내가 남기는 것이 아니다... 훗날 누군가에 의해 들추어졌을 때 부끄럽지 않은 삶이기를 바라는 것, 그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다(3138쪽)'는 말이 마음에 묵직하게 남는다. 오늘 하루 하루를 귀하게 쓰면서, 나이 듦을 웃는 얼굴로 마주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