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 마중 - 유년동화
김동성 그림, 이태준 글 / 한길사 / 2004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이 책을 보고 표지 그림에 반해 책을 대충 보고 나서 깜짝 놀랐다. 아이는 플랫폼에 서서 내내 기다리는 걸로 끝이 나서, 이런 책을 아이에게 어떻게 읽어주나 싶어서 미련없이 포기했다. 엄마랑 떨어지는 걸 세상에서 가장 무서워할 아이에게 아무리 기다려도 엄마가 오지 않는다는 걸 설명할 수도 없고, 어떤 설명도 아이가 받아들이지 못할 게 뻔했다.
나중에 우연히 이 책 맨뒷장에 아주 작게 아이가 엄마 손을 잡고 다른 한 손에는 사탕을 들고 가는 모습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럼 그렇지. 어린이들 책이라면 당연히 엄마를 한없이 기다리는 게 만드는 걸로 끝을 내면 안 된다. 동시는 엄마를 기다리는 것으로 끝이 났지만, 일러스트레이터는 아이와 엄마를 만나서 서로 마주보며 집으로 가는 장면을 집어넣었다. 이 책이 좋은 그림책인 건, 순전히 일러스트레이터의 공이다. 일제 시대, 시대 상황을 은유적으로 표현한 시라곤 하지만, 어린이용 그림책으로 만드는 이상 이 책을 볼 아이들 마음도 생각해줘야 한다. 일러스트레이터가 가장 중요한 걸 놓지지 않아서 다행이다.
'엄마 마중'의 그림이 또다른 좋은 이유는 그림 색감이다. 추운 겨울인데도 색감이 따스하다. 엄마를 기다리는 아이의 코끝은 빨갛지만, 아이가 보는 세상은 그리 추워보이지 않는다. 엄마와 아이가 손을 잡고 마주보며 걷는 그 그림은 세상엔 온통 눈이지만 연두빛이어서 따스해 보인다. 엄마와 손을 잡고 걷는데 세상이 무작정 추워 보이진 않을 게다.
'엄마 마중' 이 한 권으로 일러스트레이터 김동성의 이름을 기억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