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책만 보는 바보 ㅣ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이 책은 간서치(看書痴)(책만 보는 바보)라 불리던 조선의 선비 이 덕무의 자서전 형식으로 그와 그의 벗에 관한 책이다.
대사동 백탑(원각사 삼층석탑) 아래 같이 학문을 나누며 즐거움을 함께했던 벗 박제가, 유득공, 백동수, 이서구의 이야기와 함께 스승으로 받들던 담헌 홍대용선생과 연암 박지원 선생과의 추억들이 펼쳐진다.
그는 서자로 태어나 글을 읽고 공부를 많이 하였으나 뜻을 펼칠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았다. 온전한 양반들만의 세계에 끼워 주지도 않으면서, 양반이 아닌 다른 모습으로 살아가는 것도 비웃으며 허락치않는, 즉 가난이 대물림될 수 밖에 없는 신세였다. 굶주림과 가난의 고통속에서, 태어날때의 신분으로 운명이 결정지어지는 불합리에 대한 분노와 외로움은 그를 젊은 시절 내내 한 없이 어둡고 힘들게하였으나 학문과 속마음을 나눌 수있는 같은 처지의 벗들이 있기에, 막막한 세월을 서로 의지하며 견뎌낼 수 있었다.
누구에게나 솔직히 할 말을 다하는 벗 박제가는 백성들의 실생활에 도움이 되고, 그들의 가난퇴치를 위해 누구보다 청나라의 과학이며 기술에 관심이 많았고, 훗날, 청나라 를 3번이나 드나들며 <북학의>라는 저서를 남긴다. 벗 유득공은 애지중지 글상자를 곁에 두고 조선에 대해 , 고구려나 고려, 심지어 심양을 통해 발해까지 답사하며 한편으론 옛문헌을 통해 공부하며 새로운 역사를 서술하여 <이십일도회고시>니, ,<발해고>등을 편찬하였다.
처남 백동수는 무인으로 강원도 인제 기린협에서 보내기도 했지만 정조의 새로운 군대 장용영의 창설로 올라와 친구들과 함께 새로운 무예서 <무예도보통지>를 편찬했다.
양반의 적자였지만 사람의 위치나 처지보다는 사람됨을 먼저 알아보시는 연암 박지원과 역학이나 천문학에 조예가 있으신 담양 홍대용선생은 이 젊은이들에게 공부에 매진할수 있도록 격려와 세상에 대한 또 다른 눈을 뜨게 도와주셨다.
좋은 스승이신 담헌선생, 열암선생의 천거와 새로운 안목을 지닌 정조의 뜻이 있어 마침내 불혹의 나이에 세상속으로 뛰어들어 쓰임을 얻게 된 이 덕무와 그의 벗들은 중국 사신의 수행원으로, 규장각 검서관으로,고을의 군수로 서자의 신분을 뛰어넘어 뜻을 펼치게 되었다.
아정 이덕무는 비록 53세의 짧은 생을 마감했으나 자손대까지 세상에 나가 일할 기회를 터주었고, 길이 남을 저서를 많이 남겼으며 훌륭하고 오랜 벗들과 함께 책을 통해 배우고 익히는 즐거움으로 후회없는 생을 마쳤으리라.
실학파로 대표되는 학자들에 대한 이야기이지만 그들은 당시 명분에만 얽매이고 변화를 거부하는 시대상에 선입견을 버릴 것과 개혁의 바람을 일으키기를 요구하고 있다. 그것은 단지 새로운 학문에 대한 호기심에서뿐 아니라 가난한 백성들에 대한 사랑이었고, 더 발전한 조선을 만들고자하는 애국심의 발로였을 것이다.
비단, 이 시대만 개혁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역사가 계속되는 한, 우리는 끊임없이 변화해야한다.
물론 무엇이든 처음가는 길은 힘들고 어렵다. 주위의 비웃음과 답습되는 궤도를 변경시키기위한 에너지는 더욱 가는 길을 힘겹게 했을 것이다. 그러나 변화없이는 발전도 먼 이야기이다. 자기 내면에서의 강한 변화요구와 합리적인 행동변화의 뒷받침은 공부를 통한 자기 확신에서 나오리라 생각된다.이 때 어떠한 선입견이나 편견은 반드시 배제되어야함은 말할 것도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죽을때까지 책을 놓아서는 안되며, 끊임없이 점검하고 반성하며 안주하는 자신을 이끌어 나가야겠다.
책읽기를 밥먹는 것보다 더 좋아하고 열심이었던, 힘든 상황에서도 넋두리로만 그치지 않고 책을 놓지않으며 공부에 매진했던 옛 선인들의 행동이 큰 가르침을 준다. 풍요로운 현대를 살면서 그들에게 비할 수 없는 나의 게으름과 나태가 무척 부끄러워진다.또한, 무엇이든 솔직히 나누며 통하는 벗을 갖는다는 것이 생을 살아감에 얼마나 큰 위안이 되며 힘을 얻을 수 있는지, 문득 친구가 그리운 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