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화 가족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멀쩡한 사람이 없다고 느끼게 하는 다양한 캐릭터의 가족
서로 미워하고, 뒤엉켜 싸우면서도 없으면 아쉬워지고 보고싶은 존재, 가족
교통사고로 돌아가신 아버지의 보상금을 날리고, 체중 120kg의 건달로 칠순이 넘으신 엄마에게 얹혀사는 형 오함마, 그나마 제일 많이 배워 대학까지 나와 영화 한편(물론 영화도 실패)만든 감독이지만 이제 한푼 없는 신세로 엄마집에 들어오게 된 나, 바람을 피워 두번째의 이혼으로 딸 민경이까지 데리고 온 여동생 미연, 마흔 넘은 3남매가 엄마에게 빌붙어 살며 새로운 비밀들이 밝혀지기도 하고 좌충우돌 벌이는 삶의 이야기다.
이복형제인 형과 아버지가 다른 여동생, 이름도 몰랐던 조카에게 삥을 뜯으며 결국 에로영화감독이 되는 주인공과 엄마의 과거...결코 평범하지 않은 인물들의 결합과 가출이며 불법업소의 바지사장등 다소 심각하고 어두운 소재일수 있지만 무겁지만은 않은 설정, 이는 작가의 짧고 간결한 문체와 유머, 한마디로 대변되는 사람의 첫인상, 담장 아래 최대 관심사 302호 주인공 집의 사건 사고를 정리하는 노인들의 뒷담화등 정녕 작가는 희대의 이야기꾼임을 부인 할 수 없게 만든다.
누군가에게 보살핌만 받았고, 이기적인 삶을 살고 있으며 불완전한 삶속에 언제나 허둥대는 모습은 현대를 살아가는 대부분의 모습이다. 크게 본다면 이 가족 역시 평범한 가족임에 틀림없다.
드라마에서나 보아왔던 행복한 가정을 만들기 위해 불안해 할 이유는 없다. 그저 편안대로, 싸웠다 화해하다 상처주다 관계회복을 하다 이런 평범한 생활 가운데 순간 순간 느끼는 게 행복이지, 평생 행복한 모습은 허망한 판타지라는 것을 모두 알고있다. 하지만 세상은 바뀌어 가족과 가정의 문제는 점 점 많아지고 있는게 사실이다. 작가는 이러한 지질하고 못난 인물의 가족을 보여줌으로써 가족간의 의미를 다시 새겨보는 계기를 선사한다.
언제나 자식들을 집으로 데려가 끼니를 챙겨주고,자식을 무참히 패배시킨 바로 그 세상과 맞서 싸우라고 고기를 해먹이시는 엄마의 마음만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다. 장례식 이후 장롱 밑바닥에 깊이 싸두었던 아들 영화 포스터처럼 부모 마음은 그런 것이다. 엄마가 있어 내팽겨쳐진 영혼들이 안식을 취할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엄마도 한 여자로 욕망도 있고, 행복할 권리를 가진 한 인간으로 비춰졌다는 것이 여느 엄마의 모습보다 새로웠다.
"초라하면 초라한 대로 지질하면 지질한 대로 내게 허용된 삶을 살아갈 것이다. 내게 남겨진 상처를 지우려고 애쓰거나 과거를 잊으려고 노력하지도 않을 것이다. 아무도 기억하지 않겠지만 그것이 곧 나의 삶이고 나의 역사이기 때문이다." 라는 마지막 부분이 막장 드라마를 승화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