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수놓다 - 제9회 가와이 하야오 이야기상 수상
데라치 하루나 지음, 김선영 옮김 / 북다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 정체성은 자신이 어떤 성인이 인식하는 감각이다. 어떤 성을 가졌는지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결정짓는 것은 아니다. 데라치 하루나님의 '물을 수놓다'는 여자는 어떠해야 하는지, 남자는 어떠해야 하는지를 깨고 싶은 책이다. 여자 남자이기 때문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삶을 어떻게 개척해 나가야 하는지, 사회의 편견, 작게는 부모와 가족의 기대에 맞서는 성장을 보여준다.

아들인 기요스미는 바느질을 좋아한다. 그런 모습이 싫은 엄마는 자식이 소중하고 행복해지길 원하는 마음으로 아들이 자수를 놓거나 여성복에 관심을 가지는 것이 너무 싫다. 그런 아들이 딸이 결혼식 때 입을 웨딩드레스를 직접 만들어 준다고 한다. 싫지만 반대할 수 없는 상황.

아들, 딸, 엄마, 할머니, 이혼한 아빠와 함께 생활하는 아저씨의 시점으로 각자의 입장에서 써내려가는 이야기는 빗물이 바위에 구멍을 내듯 보이지 않는 듯 하지만 조금씩 자신의 틀을 깨고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해하지 못했던 사건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게 되고, 받아들일 수 없다고 확신했던 신념이 깨진다. 인생에 정답이 없다는 것, 나의 생각이 곧 길이 아닐 수 있다는 것, 내가 경험했다고 해서 그것이 모든 사람에게 통하지 않는다는 것을 거부감없이 잔잔한 물결처럼 풀어낸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생각과 나의 생각이 일치해서 더 몰입감있게 읽었다. 저자의 글이 멋지다.

진로를 성 정체성이나 성적 지향과 연결하는 선입견을 지적한다. 남자가 요리나 재봉에 능숙한 것, 여자가 기계를 잘 다루고 수학을 잔하는 것을 생활력이라고 불러야 한다고 지적한다. 책을 읽다보면 자연스럽게 이 생각에 젖어들게 된다. 글에 힘이 있음을 다시 한번 느낀 좋은 책이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