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는 도깨비 다릿돌읽기
박재광 지음, 지문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깨비 이야기는 우리와 친근하다.

귀여운 도깨비부터 무시무시한 도깨비까지.

 

도깨비 나라의 포비.

세상을 사랑으로 감싸주는 도깨비가 되라는 의미의 이름을 가진 포비.

도깨비 나라 도깨비 학교를 다니는 어린 포비는 장난이 심해서 졸업시험을 못 치루게 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친구 야깨비와 독가비 선생님의 도움으로 졸업시험 대신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그 과제란 인간세계에 있는 희수의 소원을 들어주는 일.

희수는 도깨비에게 친구를 만들어달라는 소원을 빌엇던 것.

3학년인 희수의 교실에서 지켜본 풍경은 왕따를 당하는 희수의 모습이다. 그리고 포비는 자신이 야깨비를 괴롭혔던 일을 반성하게 된다.

 

 

포비와 희수는 친구가 되고, 포비는 중간에 자신의 과제를 포기할까도 했지만, 끝까지 희수를 돕는다.

희수 반 아이들이 축구를 할 때 희수에게 도움을 준 것.

축구할 때 희수를 가장 괴롭히는 기태를 꼼짝못하게 한 것이다.

그 이후로 희수의 축구 실력을 알아본 반 친구들은 희수에게 호감을 갖게 되고 친구가 된다.

 

희수는 도깨비 친구, 호연이를 비롯한 반 친구들이 생겨 기뻐한다.

그리고 마지막엔 희수는 기태와의 오해를 풀고 ...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놀려면 친구 관계도 건강해야 한다.

조금만 마음을 열고 상대방을 이해하고 그 친구의 장점을 볼 줄 안다면 우리 아이들의 학교 생활이 즐거워질텐데...

 

이 책은 도깨비를 소재로 해서 더욱 재미가 있고, 우리 아이나 저나  친구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유익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샤워하는 올빼미 동화는 내 친구 68
진 크레이그헤드 조지 지음, 이승숙 옮김, 김은주 그림 / 논장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결국 점박이 올빼미 '바디'와 벌목꾼 아빠와의 사이좋은 (?) 관계가 가슴 찡하게 한다.

책의 서두 부분은 무시무시했다. 보든이 총을 들고 숲 속에서 점박이 올빼미를 찾는 장면. 보든은 벌목꾼인 아빠가 멸종 위기의 점박이 올빼미로 인해 실업자가 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말이다. 하지만 보든은 그 숲에서 둥지에서 떨어진 새끼 올빼미를 발견하고 집으로 데려온다. 새가 아니라 요정 같다는 보든의 말에, 뭔가 좋은 결말을 가져오리라 짐작하게 되고...

보든과 아빠가 바디를 보살피는 모습은 정말 사랑스러웠다.

바디는점점 자라고, 나는 법도 익히고..

이제 바디를 놓아주러 다시 숲으로 향한다. 보든은 숲에서 오래된 나무를 사랑하는 아빠의 모습을 보게 되고, 아빠는 숲을 사랑하고, 자연생태를 이해하는 그런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된다.

인간의 삶이 자연과 분리할 수 없는 그런 것임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된다.

이 책은 우리 후손들에게 물려줄 자연을 보존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를 멸종 위기의 올빼미와 벌목꾼 직업을 가진 사람의 관계에서 알게 한다. 책에서 나오듯 도미노게임처럼 연결된 생태계가 결국 마지막에는 인간이 쓰러지게 될 것이다. 정말 이 책은 우리 어린 학생들에게 자연과 인간이 공생해야 함을 다시 일깨워주는 환경 교과서와 같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나무다 독깨비 (책콩 어린이) 21
케이 우만스키 지음, 케이트 셰퍼드 그림, 천미나 옮김 / 책과콩나무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팀은 근사하다.

나무 역할을 맡게 되었을 때는 속상했지만, 멋진 나무가 되었다. 박수를 보낸다.

이 이야기는 팀의 내면 심리를 읽어가는 동안 쏠쏠한 재미가 있다.

처음부터 나무 역할에 만족할 리는 만무하다. 그래도 어린아이인지라 나름 자기 역할에 대한 불만을 토로한다.


‘문득 내가 나무라는 사실이 떠올랐다. 나뭇잎들은 나를 에워싸고 춤을 출 것이다. 윽, 쪽팔려!’

‘나무는 정말이지 기가 찬 배역임이 분명해졌다. 내가 어찌하고 말고 할 거리가 전혀 없었다.’

‘나는 엄청난 시간을 우두커니 서서 자리만 지켰다. 하긴 나무가 되기에 그보다 더 좋은 연습은 없을 터였다.’


그래도 팀은 정말 연극을 좋아하는 아이임에는 틀림없다.


‘의상을 입고 하는 최종무대연습은 겪어봐서 알지만, 내가 정말로 좋아하는 유쾌한 난장판이다.’


한창 연극은 2막을 달리는데, 제임스의 바지 고무줄이 끊어지는 사태가 발생한다. 무대에는 나무와 나뭇잎(플로라)뿐!


‘무대 끄트머리에서 액스워디 선생님이 필사적으로 손을 빙빙 돌렸다. 나는 그게 무슨 뜻인지 잘 안다. 그건 곧 제발, 뭐든 해보라는 뜻이다. 즉흥적으로. 뭐든 해, 무슨 말이든 좋으니까, 아무거나! 뭐든 좋으니 해봐, 연극은 계속 되어야 하니까.’


그리고 팀과 플로라의 연극이 시작된다. 말장난! 관객을 충분히 웃기고, 위기의 순간을 모면한 나무와 나뭇잎.

이 아이들이 너무 사랑스럽다.

우리 아이도 살아가면서 여러 역할을 맡게 되겠지만 무엇이 되었든 충실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러다 보면 좋은 기회도 생길 것이고..

정말 재미있게 이 책을 보았다.

책과 콩나무 시리즈를 더 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돼지키오와 괴짜 친구들 - 얼짱 선생 이지성의 생각이 자라는 교실
이지성 지음, 이윤하 그림 / 국일아이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재미있는 교실 풍경이다.

돼지키오를 비롯한 친구들과 선생님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소소한 일들을 통해 인간 관계에 대한 법을 배울 수 있다.

친구의 개성, 그런 친구를 배려하고 이해하고 존중하기, 친구 간의 우정과 사랑 등등...

교실은 학습만이 이루어지는 곳이 아니다. 분업도 하고, 협동도 하고, 좋은 일, 나쁜 일도 생길 수 있는 곳이다. 이 책에 나오는 교실은 그런 상황들에 대한 대처 방법과 생각들을 정리해준다. 이때 학생들의 관계에 있어서 선생님의 역할도 중요하다. 정말 여러 가지 에피소드를 통해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다.

우리 아이도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이 껄껄댔다. 그 웃음 안에서 자기도 깨닫는 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나에게 이런저런 이야기를 해댄다. “엄마, 우리 반에도 이러이러한 비슷한 일이 있었어~~등등”. 아이와 같이 책을 읽고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익한 책이다.

책 각 장마다 수록되어 있는 코너도 괜찮다. 예를 들어 2장의 경우. ‘선생님이 절 미워하시는 걸까요?’에 대한 경우의 수가 몇 가지 나오고, ‘선생님과 친해지고 싶어요’에 대한 방법이나 행동이 나온다. 그리고 다음에 선생님께 편지를 쓰는 방법이 나오고, ‘도전! 선생님과 친해지기!’에서는 아이가 직접 글을 써 볼 수 있게 한다. 그 글쓰기를 통해 아이의 생각을 읽어낼 수 있어서 엄마가 잘 몰랐던 부분도 알 수 있어서 좋았다.

얼짱 선생 이지성샘의 이야기가 우리 아이의 건강한 학교생활에 도움이 될 것 같아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멀리 더 높이 더 빨리 스포츠 과학 - 세계 기록은 과학 덕분일까, 인간의 힘일까? 초등 과학동아 토론왕 7
김은선 지음, 정중호 그림 / 동아엠앤비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스포츠를 즐길 줄만 알았던 우리 아이에게 이론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다.

봄호에서 특별호까지 아무 장이나 먼저 읽어도 무리가 없다.

그래도 스포츠 과학이 뭔지 봄호부터 읽으면 좋겠다.

우리 아이는 이제 '스포츠 과학'인 뭔지 말할 수 있다.

'스포츠 과학'은 사람의 몸과 운동 능력, 심리상태를 다루는 학문에서 더 나아가 스포츠 산업, 스포츠 사회학까지 두루 포함하는 학문이라는 걸.

우리나라의 스포츠 위상이 많이 높아진 만큼 대한민국에 끼치는 사회적 영향까지 우리 아이가 한번 더 생각해 보게 된다.

이번 런던 올림픽에서 거둔 좋은 성적-리듬체조, 축구, 사격 등. 그리고 우리아이가 좋아하는 야구. 등등을 통해 스포츠 관련 후원 기업체, 광고에 대해 <토론왕 되기> 코너를 통해 스포츠에 대한 다른 관점으로도 이해할 수있어서 좋았다.

<토론왕 되기> 코너가 매우 유익한데, 올림픽의 역사와 가치라든가, 스포츠 정신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많은 도움이 된다.

이 책은 스포츠 과학을 다루고 있지만 스포츠 뿐만이아니라 여러가지 사회 현상에 대해 비판적 안목을 기를 수 있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본다. 우리 아이가 남자아이라 그런지 매우 흥미있게 이 책을 접해서 매우 고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