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려움에 대처하는 비효과적인 방법들 




1. 상황을 회피하기

많은 사람들은 두려움을 느끼는 상황을 회피한다. 단기적으로 이 방법은 아주 좋은 해결책처럼 보인다. 이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들과 두려움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이 방법은 그리 좋다고 볼 수 없다. 그런 식으로 살면 개인의 행동반경이 점점 좁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상황을 극복하는 경험을 할 수도 없다. 가령 비행이 두려운 나머지 아예 비행기를 타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그리하여 그들은 비행이 상상만큼 위험하지 않다는 것을 깨닫지 못한다. 

어떤 상황을 시종일관 회피하기만 하는 사람은 세월이 흐르면서 점점 많은 일을 회피하게 된다. 피하기 전략은 차츰 많은 영역으로 확장된다. 따라서 종국적으로 두려움이 작아지기는커녕 더욱더 커지게 된다. 




2. 상황에 단기적으로 대치하기

몇몇 사람들은 아주 의식적으로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황’ 속으로 들어간다. 그들은 두려운 상황들을 찾아다닌다. 이런 방법은 두려움을 극복하는 아주 거칠고도 위험한 전략이다. 이런 방법은 전문가의 지도하에 시행되어야 하고, 이런 전략에 돌입했다가 얼마 못 가 중단해버리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다. 스스로 평온하고 두려움이 사라질 때까지 그 상황에 충분히 머물러 있어야 하는데, 그 상황에 익숙해지기 전에 중단하면, 나중에는 그런 상황에 대해 전보다 더 큰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3. 두려움을 음식이나 술, 약물로 해결하기

많은 사람들이 술을 마시거나 폭식을 하는 것으로 마음의 안정을 찾는다. 또 어떤 사람들은 너무 빨리 신경안정제를 복용한다. 물론 이런 전략은 단기적으로는 효과를 발휘한다. 두려움은 이내 가라앉거나 사라진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약물에 의존하는 생활을 할 수도 있다. 그런 방법으로 두려움을 느끼는 원인은 제거되지 않고, 단지 증상만 잠깐 숨어버릴 따름이다. 




4. 걱정하고 고민하고 안달복달하기

많은 사람들은 미래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안 좋은 상황들을 미리미리 마음속으로 그려본다. ‘이러이러한 일이 일어나면 얼마나 끔찍할까’ 등의 생각이 다반사고, 이런 생각을 통해 불안에 빠진다. 그런 상황이 전혀 일어나지 않았고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들은 그런 일이 실제로 일어나면 ‘절망하거나 속수무책 상태가 되지 않도록’ 이런 전략을 개발했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도 ‘내가 계속 걱정하고 고민하는 일은 일어나지 않는다’는 미신에 매달린 채 살고 있다. 




5.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려서 두려움을 견디기

또 하나의 전략은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황으로 들어가되, 라디오를 크게 틀어놓거나, 신문을 읽거나, 숫자 퍼즐 등을 하면서 주의를 다른 데로 돌리는 것이다. 이런 방법의 장점은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상황으로 들어가서 피하지 않고 견딘다는 것이다. 단점은 두려움을 유발시키는 마음가짐을 변화시키지 않는 한, 언제나 이런 전략에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강박적인 행동에 이를 수 있다. 반드시 그렇게 해야만 두려움에 맞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령 라디오를 들을 수 없는 상황이 되면 패닉에 빠진다.




6. 다른 사람과 함께하여 두려움을 줄이기

‘무슨 일이 일어날 때마다’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하는 사람들이 있다. 쇼핑을 할 때는 늘 배우자나 자녀를 동반하고, 배우자가 출장을 가면 친구더러 자기 집에 와서 자달라고 부탁한다. 이런 전략 역시 단기적으로는 일상이 그런 대로 돌아가도록 해준다. 그러나 우리가 ‘○○○한 일을 할 때는 꼭 ○○○가 필요해’와 같이 어떤 일을 하는 데 있어 한 가지 방식 밖에 가지고 있지 않을 때, 상황은 위험해진다. 늘 ‘나는 ○○○가 필요해’, ‘○○○가 없으면 되지 않아’라고 생각한다면 우리는 그 사람, 혹은 사물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혼자서 무엇인가를 할 능력은 점점 더 줄어든다. 이런 경우 두려움 뒤에 또 다른 모티브가 숨어 있는 경우가 많다. 두려움은 사람들의 도움과 주목을 받고, 혼자서 책임질 필요가 없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7. 두려움을 숨기기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두려움은 좋지 않은 것이다. 두려워한다는 것은 무능하고 나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려움은 겁쟁이, 비겁한 사람, 마마보이, 실패자라는 말과 가깝다. 그리하여 많은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두려움을 숨기려고 노력한다. 하지만 신체가 한번 경보상태에 놓이면 바짝 긴장하게 된다. 그런 상황에서는 진정하려고 노력하는 것만으로 ‘거의 미쳐버릴 것 같은’ 마음이 든다. 







8. 미루기

많은 사람들은 부담스러운 상황을 자꾸 미룬다. ‘좀 나중에 하자’고 결정하면 단기적으로는 부담이 없어진다. 그러나 이런 전략 역시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다. 미루는 것으로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기 때문이다. 하고 싶지 않은 전화, 치과에 가는 것, 귀찮은 연말정산 등은 미룬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