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영의 본질 - 피터드러커가 극찬한 경영 바이블 ㅣ CEO의 서재 39
프레드문트 말릭 지음, 박여명 옮김 / 센시오 / 2023년 4월
평점 :
[ 경영의 본질 - 프레드문트 말릭 ]
경영에 있어서 환경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외부 또는 내부의 경영환경이 조금만 바뀌어도 조직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고, 경영방식의 방향성 또한 급물살을 타게 되는 것을 모두 알고있다. 경영에는 뭔가 고정된 틀 보다도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상황을 잘 대처하는 기업이 살아남는 것이 어느정도 통설로 굳어져 있다. 나도 마찬가지로 단 한번도 의심해본 적이 없다. 조직은 환경에 대응해야 하고, 경영에 변하지 않는 본질은 없다고. 하지만 그러한 의견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책이 있다. 그것이 바로 이 책 [경영의 본질]이었다.
저자는 책을 통해 경영의 절대적 원칙이 있다는 것을 주된 주장으로 펼치고 있다. 경영은 환경에 대응하여 계속 변화해야 하는 부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경영자들은 변하지 않는 본질에 집중해서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기 위해서 지켜야하는 원칙들로 결과 중심의 경영, 전체에 대해 기여하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검토, 중요한 소수의 일에 대한 집중, 강점에 대한 집중, 신뢰와 긍정적 사고에 대해 제시한다. 이 부분에서 우리가 통념적으로 가지고 있던 기업의 유연성과 즉시성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볼 수 있게 된다. 이후 그럼 경영의 본질을 강화하기 위한 과제와 방법으로서 목표의 설정, 조직구조, 의사결정, 관리감독, 인재개발에 대한 집중, 회의와 보고, 직무설계, 리더의 업무방식, 예산, 시스템까지 전체를 아우르며 핵심을 찌르는 조언을 한다.
책의 전체적인 분위기는 원리원칙주의나 과학적 접근법에 가깝다는 느낌을 받는다. 노력의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 경영이라는 것은 머리를 자르는 것이나 목공과 같은 기술일 뿐이며 교육을 통해 얼마든지 향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경영이라는 것은 리더십으로 커버할 수 없는 변하지 않는 원칙이 있고, 심리학, 문화, 즐거운 일, 다양성과 같은 것은 부차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결과와 성과, 강점에 집중해야 한다는 부분을 다양한 근거를 들어 설명하고 있어 인상깊게 볼 수 있었고, 또한 효과성과 효율성을 구분하여 이 일이 효과적인가를 끊임없이 생각하며 업무에 임해야 한다는 부분이 개인적으로 느끼는 바가 많았던 구절이었다.
어쩌면 다른 사람들은 책의 내용에 동의할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의 방향성이 뚜렷하고, 애매한 입장을 견지하는 것을 최대한 배제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이런 책은 보통 양서인 경우가 많다. 모든 것을 아우르려고 하는 것 보다, 한 방향의 입장을 최대한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근거를 들어 제시하고, 반론을 수용하며 이론과 사상은 발전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이 책의 주장에 전면적으로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읽어보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논리의 빈틈을 이 책을 통해 다시한번 생각해볼 수 있었고, 책의 대부분은 무릎을 치며 읽은만큼 받아들일 부분도 많았다고 생각한다. 경영에 변하지 않는 절대적 원칙이 있다는 것에 대해 동의하는 사람이나 아닌 사람이나, 읽으면 분명히 남는 것이 있을 것이라고 확신한다. 해당 분야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일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