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 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김윤태 ]
나는 사극을 보는 것을 좋아한다. 최근에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여러가지 영화가 개봉했고 역사적 사실을 흥미롭게 각색한 영화를 보고 나면 그 여운이 진하게 남아 관련된 역사적 사료를 찾아보곤 한다. 그러다보면 빠질 수 없는 것이 역시 조선사이다. 특히나 조선왕조실록은 다양한 버전과 매체를 통해 접하게 되었는데 내가 수행하는 직무나 리더십과 관련해서는 미처 찾아보지 못했던 것 같다. 생각해보면 조선왕조실록은 조선이라는 뿌리가 깊은 기업을 각각의 방식으로 경영한 리더들의 일대기라고 볼 수도 있는데. 그런 관점에서 보면 조선왕조실록은 훌륭한 리더십 관련 서적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나에게 이런 새로운 시각으로의 접근을 제시해 준 책이 [조선왕, 그리고 리더십]이라는 해당 도서였다. 시중에 이 책 전에도 역사적 인물들 특히나 조선의 왕들의 리더십에 대해 다룬 책들은 많았겠지만, 조선사와 리더십에 모두 관심이 많아진 이 시기에 만나게 된 책이 공교롭게도 이 책이었다.
책은 조선왕조 500년 중에서도 리더십의 특징이 뚜렷하고 리더로서의 명암이 뚜렷한 여러명의 군주들의 에피소드를 제시한다.태조,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선조, 광해군, 영조, 정조를 주인공으로 하고 각 장을 이끌어가고 있다. 특히나 해당 군주들은 그 족적에 대한 평가가 뚜렷히 갈리고, 리더로서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의사결정을 했고 어떤 결과를 발생시켰는지를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는 여러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는 왕들이어서 충분히 비교해가며 볼 수 있어서 흥미로웠다. 명군 세종은 물론이고 비정한 군주로 불리지만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고 왕권을 확립한 태종의 강력한 리더십, 주변의 참모들의 의견을 어떻게 수렴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미를 곱씹게 만들어주는 수양대군 세조의 리더십, 폭군의 면모가 있었으나 명분보다 실리를 추구하고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자 했던 리더의 양면을 가지고 있던 광해군의 이야기 또한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각 왕들에게 일어났던 사건을에서 리더십과 관련된 인사이트를 도출해서 독자에게 제시하고자 했던 저자의 서술방식은 지루하지 않게 리더십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이었다. 다만, 리더십에 대한 인사이트를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것은 그 양이 많지 않았고 흥미로운 에피소드를 나열하며 스스로 리더십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게 구성했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자 단점으로 꼽힐 수 있을 것 같다. 아무런 생각없이 책을 읽다보면 리더십과 관련된 인사이트보다 재미있는 역사서를 한권 읽었다는 생각이 들 것 같다. 스스로 리더십과 관련하여 포커싱하고 읽다보면 저자가 선정한 이야기들로부터 리더십과 관련된 다양한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역사로부터 배울 수 있는 것들은 너무나도 많다. 현대의 경영과 리더들에게도 깊은 울림을 주는 것을 보면 시대는 변했지만 그 본질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다. 오늘날도 급변하는 경영환경과 경기악화로 많은 기업들이 흔들리고 있다. 이런때야말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한데 내 리더십, 그리고 우리 조직의 리더십에 대해 조선 왕들로부터 힌트를 얻어보는 것은 어떨까. 아마 꽤 의미있는 여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 여정에 이 책이 동반자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