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의 삼각형 - 권은진 ]많은 사람들은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돈을 쫓는 것은 천한 욕망을 쫓는 것이라는 인식은 예저녁에 사라졌다. 이제 사람들은 자기 일하는만큼 경제적으로 대우받고 풍족한 삶을 사는 것은 공정하고 정당한 일이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강해졌다고 생각한다. 나 또한 자본주의를 살아가는 현대인으로서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이 든다. 돈을 많이 벌고 부자로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에 대해서는 너무나도 많은 사람들이 고민하고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런 중간단계 없이 막연하게 부자만을 꿈꾸다가 고꾸라지거나, 너무 세분화된 여러가지 부자가 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다가 제풀에 지쳐 한 발도 떼지 못하는 경우를 너무나도 많이 보아 왔다. 유튜브, 티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부자가 되는 법을 알려주고 있지만, 어쩔 수 없이 꼰대인 나는 역시 책에서의 지식을 신봉하고 있다. 그렇게 나는 이 책 부의 삼각형을 읽게 된 것이다.책은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다. 앞뒤 개요와 마무리도 되어있고, 중간 핵심 내용으로서 부동산, 미국주식, 국내주식의 세가지 큰 구분으로 구성된다. 부동산과 미국주식, 국내주식이 저자가 말하는 부의 삼각형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투자방법은 단계적인 것은 아니고 상보적인 것이라고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각 투자방식은 그 접근방식과 주의사항, 그리고 기대효과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약한 부분에 대해 다른 방법을 차용하여 보완하는 방식으로 부의 그레이드를 올려갈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합리적이고 타당한 근거를 통해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논리적으로 꽉 짜여진 구성은 아니지만 실용서가 해야할 역할답게 실용적인 지식을 풍부하게 제공하고 있다.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사이트와 간단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정말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방법들을 책을 통해서 제시하고 있다. 부를 이루려는 사람들이 전부 경제학 이론이나 어려운 재무금융 상식에 대한 수요가 있지는 않을 것이다. 오히려 이러한 직접적이고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매우 높은 만족도를 느꼈다. 책은 읽기 쉽지만 내용이 부실하다는 느낌은 아니었다. 재테크와 관련된 기본적인 상식이나 용어오 설명해 줘 가면서 왜 이런 방식으로 재테크를 진행해야 하는지 꼼꼼하고 친절하게 설명하고 있었다.늘 이런 재테크에 관련된 책을 읽다보면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주장하는 골자는 결국 하나로 수렴되는 것 같다. 부자가 되어야겠다는 마인드를 가지고 서로 상호보완할 수 있는 다양항 재테크 수단을 꾸준히 공부하여 위험을 분산하고 적정 수준에서 투자하라는 것. 당연한 말이지만 이런 당연한것을 실천하는데는 용기가 필요하다. 길은 알지만 시도하지 못하는 것은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 길잡이 역할을 해주는 것들이 이런 세부적 방법론이라는 생각이 든다. 앞서 말했든 지식과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매개체는 너무나도 많고 접근방법도 너무나 쉽다. 하지만 그런 여러가지 방법 중에서도 이 책 부의 삼각형을 통해 재테크에 접근한다면 기본기를 다지면서 장기간을 바라볼 수 있는 튼튼한 재테크 실력을 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재테크 초보자들에게 일독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