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관리 - 한눈에 들어오는 5단계 성과창출 핵심 매뉴얼
류랑도 지음 / 쌤앤파커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성과관리 - 류랑도 ]



요즘 성과관리에 대한 고민이 심해지고 있다. 조직 내의 무엇을 성과로 잡고 어떻게 측정하며 구성원들을 달성 성과에 따라 어떻게 대우해 주어야 하는지. 이것은 HR과 관련된 업무를 시작하면서부터 가졌던 고민인데 시간이 지나도 해결되기는 커녕 더 복잡하고 깊어진다. 아마도 그래서 여러 조직의 담당자들이 구성원들이 높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독려하는 방법을 그렇게 오래 고민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성과관리와 관련된 책들도 꽤 읽었다. 저자들마다 각자 생각하는 바가 다르고 다양한 견해를 가지고 있어 성과관리와 관련된 시야를 넓히는데 꽤 도움을 많이 받았던 것 같다. 이 책 [성과관리]도 성과의 개념, 기준, 운영방식 등에 대한 저자의 노하우에서 힌트를 얻기 위해서 읽기 시작했다.

저자는 HR과 관련된 책을 꽤 출간한 사람이라 이름을 알고 있었다. 이름이 특이하기도 하거니와 저자의 다른 책들을 꽤 즐겁게 읽었기때문에 이번 책에도 기대가 컸다. 책의 구성은 크게 3개의 덩어리로 나눌 수 있다. 성과의 개념과 성과관리의 본질에 대해 논하고, 성과관리의 5단계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 뒤, 이러한 5단계의 성과관리를 잘 수행하기 위해 각 단계에서 주의해야 할 팁들을 제시하며 마무리 하고 있다. 양장으로 깔끔하게 디자인 되어 있으며 구성 또한 간결한 편이다. 다만, 책 내에 도표나 그럼, 그래프 등 직관적으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내용이 부족하고 글 위주의 설명을 하고 있어 다소 지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영서나 실무서의 경우 책의 내용을 비주얼라이징 한 그림이 많이 들어가 있으면 이해하기도 쉽고 활용하기도 쉬운데 다소 아쉬운 면이라고 생각했다.

성과란 간단히 목표의 달성여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과를 높이고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5가지 프로세스를 책에서는 핵심과제 설정, 성과목표 설정, 달성 전략 수립, 실행, 평가로 제시하고 있다. 핵심과제란 조직 전체의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중요하고도 우선순위가 높은 과제이자 역할을 의미한다. 성과목표란 우리가 소위 말하는 KPI를 의미하며, 정성적으로 평가될 수 밖에 없는 분야의 경우 억지루 수치화하지 말고 상태적 목표의 달성여부를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표현하여야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수립 방법론으로는 고정요소와 변동요소를 구분하여 관리하는 것, 예상 리스크를 대비한 플랜B의 구축, 구체적 실행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앞서 나온 성과목표 전략, 실행계획을 잘게 캐스케이딩 하여 결과물을 산출하는 성과목표 실행, 성과목표 실행이 완료되고 나면 객관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과와 전략, 프로세스를 평가하고 원인과 해결책에 대한 피드백을 가지는 것을 제안한다.

책의 내용 자체는 좋다. 성과와 성과관리에 대해 오랜시간 숙고해 온 저자의 내공이 느껴진다. 다만, 이 책은 초심자용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초심자들이 읽기에 조금은 학문적이고 추상적인 면이 있다는 느낌이었다. 다시말해 성과관리의 how와 관련한 부분이 조금 약했다는 생각이 들고, 성과관리의 what과 관련한 고민을 충분히 담은 책인 것 같다. 성과관리에 막 관심을 가지고 공부를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이 책이 보기에 적합하다고 추천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보고, 조금 더 실무에 가깝고 도식과 사례가 많은 책을 찾으면 좋겠다. 하지만 어느정도 성과관리에 대해 고배를 마셔보고, 여러 순기능과 역기능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이 책은 독자의 내공을 한층 끌어올려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