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터코치의 코칭 레시피 - 코칭 이렇게 하면 된다
김종명.최선영 지음 / 에디터 / 202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스터코치의 코칭레시피 – 김종명, 최선영>



코칭이라는 단어는 참 익숙하면서도 생소한 단어이다. 나의 경우 무언가를 코칭한다고 하면 가르치는 행위 그 자체에서 크게 벗어난 것을 생각하지 못했다. 그래서 강의하는 교수법에 관련된 책인가? 아니면 강사로서의 마음가짐에 대해 적은 책인가? 반신반의 하며 책을 펼쳐든게 사실이다. 저자는 코칭이란 고객이 원하는 것을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계획을 수립하게 하며, 실행방안을 구성하게 하는 촉진자에 해당한다고 말한다. 그것이 코칭이고 그것을 해내는 사람을 코치라고 명명하고 있다. 코치로서 고객을 코칭하는데 있어 필요한 프로세스와 실제 코칭 상황에 나오는 여러 상황에 대한 대처를 구체적 사례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책에서 코칭이 진행되는 프로세스로 DSA를 제시하는데, 여기서 D는 Discover, S는 Strategy, A는 Action&Achieve를 의미한다. 고객의 문제를 발견하고, 실행전략을 세우고, 실행하고 성취하게 하는 코칭순서에 따라 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질문과 나올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 설명한다.​



​에서 주장하는 굵은 주제를 느낀대로 이야기 해 본다면, 코치는 조언을 하는 사람이 아니고 촉진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고객이 편하게 자신의 이야기를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고객의 발언에 대해 편견은 물론이고 가치판단 또한 제거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문제를 도출하는 것 뿐 아니라 전략을 수립하고 행동지침을 세우는 것 전반에 적용된다. 이 때 코치는 고객에게 적절한 질문을 통해 숨겨져 있는 니즈를 유도해내고 대답을 통해 고객의 내면을 맥락적으로 파악하여 다시 다음 단계의 적절한 질문을 던져야 한다. 이것은 처음에는 어려울 수 있으므로 어느정도 정형화된 질문 목록을 기반으로 질문을 하게 된다. 저자는 초보 코치 시절 300여개의 질문을 녹음하여 매일 들으며 익혔다고 할 정도이다. 그러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질문에 익숙해지며 자유롭게 고객을 목적하는 바로 이끌 수 있는 코치가 되는 것이다.​



​읽으면서 공감이 가는 내용이 많았으며 쉽고 친절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주고 있어 코칭을 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많이 될 것 같다. 그런데 책에서 나오는 코칭이라는 것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언제, 누가 하는 것인지 아직 명확히 와 닿지는 않았다. 이런 직업이 어딘가에 있는건가? 나의 경우 타인을 인터뷰하거나 외부의 인사담당자들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정확히 책에서 설명한 코칭의 개념과 부합하지는 않지만 과정 중에 활용할 수 있는 노하우도 있었다. 새로운 분야에 대해 알게 되어 의미 있었다고 생각하고, 새로운 분야에 대해 안다는 것이 노력이 많이 드는데 불구하고 책을 통해 쉽게 설명해주어 관심의 영역이 확장된 느낌이 든다. 혹시나 누군가에게 코칭을 해 줄 일이 있다면 이 책이 친절한 가이드가 되어 줄 것을 확신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