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황혼에서 - 헬렌 니어링과 함께 하는 아름다운 노년을 위한 명상
헬렌 니어링 지음, 전병재 외 옮김 / 민음사 / 2002년 7월
평점 :
품절


헬렌 니어링 엮음(전병재, 박정희 옮김). 인생의 황혼에서: 헬렌 니어링과 함께하는 아름다운 노년을 위한 명상(Light on Aging and Dying: Wise Words Selected by Helen Nearing, 1995). 서울: 민음사. 2002. 194쪽
       죽음에 대한 생각들이 다양하게 펼쳐져있다. 죽음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옛 사람들의 생각들이 흥미롭게 소개되어있다. 나아가 죽음 뒤에는 어떤 상황이 죽은 자를 기다리고 있을지에 대한 상상과 희망이 많은 인용문을 차지하고 있다. 대개 사람이 죽으면 몸은 흙으로 돌아가지만 영혼은 새로운 세계에서 그 존재를 지속해가리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얘기한다. 죽음으로써 삶은 끝난다고 딱 잘라 말한 경우는 없는 듯하다.
그러나 나는 나의 죽음이 완료되면 나의 영혼이 나의 육체와 분리되어 다른 세계에서 존속해가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영혼이나 정신 또는 마음은 몸의 죽음과 함께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 예견은 지금까지의 인간역사의 진행과정에 비추어본 나머지 내가 미루어 짐작하는 추론이다. 죽음 앞에서도 사람은 정직해야 한다. 사실을 사실 대로 받아들이고 어떤 두려움도 미리 가질 필요가 없다. 죽음이 나의 존재 전체를 태어나기 이전의 없었던 상태로 돌려놓는다면 나는 그것을 자연의 법칙으로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나는 자연에서 나왔으니 자연 속으로 다시 돌아갈 뿐이다. 죽음 뒤의 나의 존재는 오로지 살아있는 이들의 기억 속에서만 살아있을 것이다. 나는 죽음과 그 다음의 세계에 관해서 달리 생각할 수 없다. 천국, 극락, 지옥, 연옥, 내세 등은 종교에 의지하려는 사람들의 소원과 상상에서 나온 허구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피아노 이야기
러셀 셔먼 지음, 김용주 옮김, 변화경 감수 / 이레 / 200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러셀 셔먼(Russell Sherman)(김용주 옮김). 피아노 이야기(Piano Pieces). 서울: 이레. 2007[2004]. 383쪽
    "피아노 연주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다."(17쪽) "예술은 집중의 과정이다."(226쪽) ... 게임(피아노 연주), 가르침, 다른 요소들과의 상관관계, 악보, 코다 등의 부분들로 나뉘어져 있고 짧은 단상들처럼 서술되어 있다. 피아노와 음악과 예술에 관해 생각하게 이끄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슈테판 츠바이크의 에라스무스 평전 - 종교의 광기에 맞서 싸운 인문주의자, 아롬옛글밭 2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정민영 옮김 / 아롬미디어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슈테판 츠바이크(정민영 옮김). 에라스무스 평전: 종교의 광기에 맞서 싸운 인문주의자. 파주: 아롬미디어. 2006. 255쪽
       에라스무스( Erasmus von Rotterdam, 원명: Gerhard Gerhards, 1466 또는 1469.10.28 로테르담 - 1536.07.12 바젤)라는 중립주의자의 독특한 삶을 투명하게 엿볼 수 있는 아주 흥미로운 전기다. 그는 카톨릭 교회 안에 머물면서 루터의 종교개혁에 내심 찬성하지만 명시적으로는 찬성의사를 표명하지 않는, '늘 자기 자신만을 대표'하는 입장을 취했던 사람이었다: 하나의 자유사상가, 이성주의자로서 사회적 쟁점이 되는 문제 앞에서 어느 파벌에도 속하기를 거부하며 중립적 판단보류의 관점을 견지함으로써 무결단의 결단으로 평생을 살면서 오로지 글쓰기에만 열중했다. 아마 서구 역사에서 보는 유일한 초월적 정신의 인간상이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연민 -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지독한 감정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이온화 옮김 / 지식의숲(넥서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슈테판 츠바이크(이온화 옮김). 연민(Ungeduld des Herzens). 서울: 지식의숲. 434쪽
         츠바이그의 유일한 장편소설. 동정심 또는 연민의 감정이 빚어낸, 작은 실수가 연쇄반응을 누적적으로 만들어낸, 일종의 '나비효과'의 엄청난 결과가 실제로 있었다는 사실을 근거로 하여 긴장감있게 그려져 있다.

책 표지에는 '연민'을 '사랑할 때 버려야 할 지독한 감정'이라고 써있다.

'사랑의 심리학자'라고 일컬어진 저자의 인간심리의 묘사는 감탄을 금치 못한다. "... 양심이 알고 있는 한 그 어떤 죄도 결코 망각되지 않는다"는 마지막 문장이 긴 이야기의 핵심을 잘 표현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삶의 의미를 찾아서
빅토르 프랑클 지음, 이희재 옮김 / 아이서브 / 2001년 12월
평점 :
품절


빅토르 프랑클(이희재 옮김), 삶의 의미를 찾아서(죽음의 수용소 체험과 간추린 로고테라피), 아이서브, 2003[1998], 212쪽).

독일어와 영어 원문에서 옮긴 이 책을 저는 어제(2007.08.10) 매우 감명깊게 읽었습니다. 빅토로 프랑클(1905-97)이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 히틀러의 유태인 강제수용소에서, 생사의 경계에서 3년간 겪은 삶의 체험기록인데 '삶의 의미'를 찾는 역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의 제2부에 서술된 그의 독창적인 심리치료법인 로고테라피(logotherapy)도 아주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됐습니다: 이것은 인간의 실존적 한계상황을 통과해온 그의 극적인 삶에서 정립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신경정신과 의사들이 얼마나 로고테라피를 정신질환치료에 적용하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저는 이 책을 누구에게나 적극 권하고싶지만 특히 자살충동을 겪는 젊은이들에게, 그리고 불안과 온갖 심리적 갈등과 고뇌로 맘고생하는 이들에게 강력히 일독을 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