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미래보고서 2024-2034 - 모든 산업을 지배할 인공일반지능이 온다
박영숙.제롬 글렌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읽어보고 싶은 책으로 "세계미래보고서 2024-2034(박영숙, 제롬 글렌 지음)"을 선택하였다.  부제로 "모든 산업을 지배할 인공일반지능이 온다."인데 이 미래보고서는 인공지능이 가져다줄 미래에 대한 이야기다. 우리가 AI라고 말하는 인공지능은 올 해 특히 많은 조명을 받고 있고 드디어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가 만들어지고 사용되고 있다.  대규모언어모델인 LLM이라는 용어는 물론이고 파운데이션모델이라는 용어같은 것도 일반화되어 누구나 한번쯤은 아니 그 이상으로 주변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 용어이고 기술이 되었다.

세계미래보고서에 관심이 간 이유는 오픈AI라는 회사로부터 시작한다.  이 회사가 나타나기 이전에는 인공지능하면 그냥 파이썬정도만 연상되다가 오픈AI가 나타나서 생성성인공지능이라는 말과 함께 챗GPT가 배포가 되고 너도나도 여기에 연결하여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등 지난 1년여 기간동안 그야말로 인공지능의 황금기였다.  지난 수십년간의 인공지능 겨울이 드디어 봄을 지나 여름으로 달려갈 즈음 오픈AI의 CEO인 샘 알트만이 이사회에서 해고되었다가 다시 복귀하는 해프닝이 일어나면서 인공일반지능(AGI)에 대한 언급도 있었고, 인공지능에 대한 통제, 거버넌스 등에 관한 글들이 쏟아졌다.  이 즈음에 아주 좋은 타이밍으로 "세계미래보고서 2024-2034"읽게 된 것은 행운이다.

이 책은 우선 20가지의 질문을 세계 도처에 있는 전문가들에게 인공지능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개개인의 회신을 정리하면서 시작한다.  서두에는 우리가 자주 접하지는 않지만 ANI, AGI, ASI 등 협소한(Narrow), 일반적인(Generative) 그리고 수퍼(Super)로 이어지는 인공지능기술의 발전과 속도 그리고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넘어서는 ASI(Artificial Super Intelligence)가 도래하기전 이를 통제하는 규약이나 전세계적인 규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가 인공지능의 위험성이라고 말하면 궁극적으로 "인류의 멸망"을 초래할수도 있는 가능성을 미리 염두해두고 인류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규제를 하는 거버넌스를 미리 만들어 놓자는 의미다.

앞서 20가지 질문은 "밀레니엄프로젝트"라는 조직이 "인공일반지능 시대를 준비하는 법으로서 그 방향성을 잡아주는 역할을 했고, 이 책의 본격적인 본론은 그에 대한 개관이다.  우선 1장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는 갑자기 들이닥친 AGI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의 인공지능의 도입과 활용등에 관한 것으로 시장규모부터 시작하여 기업들의 활동, 번역, 생각을 읽는 AI 등등 우리의 일상에 바짝 다가온 AI의 역할(또 하나의 가족)에 대한 개론적인 미래를 설명한다. 2~6장은 의료, 환경, 일자리, 사회경제, 미래학자의 행복미래보고서 등으로 이어지는데 특히, 일자리와 노동분야에 있어서는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는데 눈여겨봐야할 부분이다.  의료나 환경같은 분야는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우리의 건강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측면이지만 일자리에 대한 부분은 그동안 우리가 먹고 살기위해 일을 하던 개념에서 벗어나기때문이다.  그야말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런 노동이 없어지니 노동조합도 필요가 없어진다는 부분에서는 강한 변화의 느낌이 온다.  결국은 인간의 복지요, 삶에 관한 문제로서 지금부터 언제 갑자기 도래할지 모르는 AGI나 ASI를 대히하여 미리 미리 준비하는 것은 몰래 "군사적인 용도"로 인공지능을 개발하거나 혼자 "돈"을 많이 벌겠다고 끌어안고 독점적인 활용을 꿈꾸는 거대기업보다는훨씬 인간적이어야 하는 것이 인공지능의 미래여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