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본 적 없던 바다 - 해양생물학자의 경이로운 심해 생물 탐사기
에디스 위더 지음, 김보영 옮김 / 타인의사유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한 기회에 "아무도 본 적 없던 바다(Below the Edge of Darkness, 에디스 위더 지음/김 보영 옮김)"를 읽게되었다.  이것은 순전히 호기심때문이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바라보는 바다야 말로 우리가 아는 것이 별로 없다.  지상에 살면서 우주를 탐험하는 시대가 되었지만 정작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바다는 극히 일부분만 알고 있다.  그런 바다를 탐험한 해양생물학자의 심해 생물 탐사기라고 하니 관심이 생기고 정말 경이로운 사실들이 있을 것 같았다.  아마도 나는 TV에서 보던 흥미를 유발하는 프로그램을 상상했었던 모양이다.  그리고, 이 책의 저자는 자신의 경험을 소개하면서 필요한 경비를 위하여 할수 없이 TV 프로그램등과 협업을 하면 어떤 발견을 하여 세상에 소개도 하지만 상업적이고 흥미위주인 TV프로그램에 대하여 좋은 생각은 가지고 있지 않다.

이 책을 펴들며 첫번째로 다가오는 느낌은 어떤 과학적인 이야기이면서 상당히 철학적인 이야기라는 점이다.  단순히 재미난 과학적인 현상을 설명하는 제3자의 의 시각은 아니고 1인칭 화자의 시각으로 자신의 경험을 통한 바다의 세계를 소개하는데 재미난 비유와 인용들이 자주 나타난다.  과학서라기보다는 이야기책에 더 가깝다.  그런 내용이 이 책을 다 읽고난후 맨 끝의 "감사의 글"부분에 나온다.  "더 개인적인 서술이 필요하다"든지 "설명하지 말고 묘사할 것" 그리고 "문장력연마"에 도움을 준 독서모임이라든가 하는 이야기를 읽고서 그제서야 이 책이 내 개인적인 기대보다 훨씬 더 이야기가 재미있고 자세한 묘사가 나와서 때로는 책을 읽다가 멈추고 머리속에서 상상을 해보기도 했던 이유가 있었다.  그만큼 개인적인 서술과 묘사에 많은 공을 들인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이 책의 중심 주제는 "생물발광"이며 그 발광생물에 대한 상상력을 자극하여 그 상상력을 바다속에서 실현하고 실험하는 과정과 개인사, 동료애, 새로운 장비의 개발, 필요한 비용의 조달, 역경 등의 주제로 다양한 경험을 소개한다.  해양동물들의 수직이동은 날마다 일어난다는 사실과 암흑에 가까운 곳에서 생의 대부분을 보내는 대신에 대다수가 자체적으로 빛을 만든다는 내용은 생명을 생명으로 보지 않고 하나는 철학적인 사유의 대상으로 보는듯 하기도 하여 밑줄을 그어 놓았다.  뭐라고 해도 "생물발광" 그것도 중층수나 심해의 발광생물에 대한 연구는 왜?부터 시작해서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한다.

장비를 만들어 심해 바다 바닥이나 중층수에서 장비를 활용하여 생물발광을 촬영하기 위하여 장비를 개발하는 과정에 빛과 투과에 대한 설명이 나오는데 바다속 생물발광은 대부분이 청색이라는 것은 새롭고 신기하다.  적색광은 대부분 크게 인식을 하지 못하는 바다 생명들의 특징 또한 인상적이다.  저자이자 해양생물학자인 에디스 위더의 장점은 과학자로 필요한 장비를 만들고 실험하는데 직접관여하고 시행착오끝에 적합한 장비를 만들어 내는 과정 또한 재미있고 유익한 시간이다.  EITS(Eye In The Sea)라는 장비는 그녀의 작품이다. 수중생물의 활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생물을 유인하여 발광을 촬영할 수 있는 장비다.

신호등물고기, 와편모충류에 대한 이야기, 역그늘색이라던가 생물발광의 역조명효과 등에 대한 과학적인 설명에서 흥미를 자아낸다.  미 해군 비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생물발광이 갖는 군사적인 의미도 이해를 하게되었다.  특히, 잠수함같은 경우 소리에만 집중했었는데 사실 이런 생물발광이 있다는 것을 알게되면 군사적으로 그게 어떤 의미인지를 생각하니 더욱 흥미를 끌기도 했다.  여러 경험중에 대왕오징어를 촬영하게된 기쁨(이것은 모든 해양학자들의 꿈과 같은 것이라고 한다.)에서는 여러 번 행운을 얻는 장면도 나오고 홍볼트오징에 대한 이야기도 재미있다. 

해양학자로서 저간의 경험과 행운을 통해 유명해지고 TED강연에도 나가고 TV에도 나갔지만 경험을 쌓을수록 그녀는 환경에 대한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환경을 보호하는 일 말이다.  그것도 바다의 환경.  그녀는 이러다간 큰일 난다는 식의 부정적인 표현을 하는 환경론자보다는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는 식의 긍정적인 환경론자를 지향한다.  이 책의 초반에 나온 이야기이지만 결국 끝부분에서 다시한번 강조된다.  "환경주의자가 되려면 낙관주의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이다.  그녀가 "마치며"에서 한 말이다.  이 책의 저자의 마지막 문장은 의미심장하다. "삶의 목적이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면 살아 있는 빛은 그 목적지로 가는 길을 밝게 비추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생명체를 보는 완전히 새로운 수단으로서 "생물발광"과 "빛"을 이야기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