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집 - 대한제국 마지막 황족의 비사
권비영 지음 / 특별한서재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아픈 역사를 듣거나 읽으면 왠지 모를 아픔이 생긴다. 내가 그당시에 직접 경험해 보지도 살지도 않았지만 내가 이 땅에 살기에 우리 나라이기에 그 감정들이 고스란히 담기는 듯하다. 사실 권비영작가의 책은 이번이 3번째이다. 덕혜옹주, 하란사까지 읽었었다. 덕혜옹주는 영화로까지 나와서 내내 나의 애국심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었다. 이 책은 덕혜옹주의 오빠인 이은, 조선왕실의 마지막 황태자 이은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어린나이에 부모로부터 나라로부터 떠나서 일본에서 홀로 생활한다. 어린나이에 부모를 떠나 일본에서 그들의 말을 배우고 그들의 교육을 배워가는 이은은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나라를 잃은 서러움으로 하루하루 성장해 간다. 그런 그와 일본의 황족 마사코는 자신들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결혼의 말이 오가게되고 이은과 마사코는 혼례를 치르게 되고 허수아비같은 황태자이지만 마사코는 조선의 황태자비로서 예법을 알아가고 배우려 노력한다. 그런 마사코를 이은 또한 감사하며 함께 결혼생활을 시작하지만 그들의 관계는 순조롭지 않다. 백성들은 황태자가 일본여인과 결혼했다는 말에 분개하고 비통해 하고, 그런 말들을 듣는 마사코 또한 아프지만 인내한다. 그런 그들 앞에 첫째왕자 이진이 태어나지만 조선에서 병으로 사망하게 되고 그들 부부에게도 위기가 찾아오지만 마사코의 인내로 오랜시간을 버티고 버티면서 둘째 이구를 맞이하게 된다. 영친왕 이은은 말이 없고 늘상 혼자만의 시간을 가지기를 원하는 그로 인해 마사코는 늘상 힘들어 하지만 내색하지 않고 옆에서 늘상 함께 하고, 일본이 패망하고 이구를 미국으로 유학 보낸후 영친왕 이은은 조선의 왕실이 없어졌지만 평민으로 살아가더라도 조선으로 가기를 원하지만 순조롭지만 않은 일에 실망하는 그를 옆에서 마사코 또한 위로한다.

그런 그들앞에 이구의 결혼소식이 들린다. 미국땅에서 공부하고 우크라이나계미국인 줄리아, 연상의 여인을 만나 결혼하게 되고 영친왕와 마사코는 조선으로 와서 낙선재에 머물면서 장애인들을 위해서 봉사하며 살아가고 있다. 영친왕 사망후 마사코는 영친왕의 뜻에 따라 장애인봉사에 더 열심히 매달리는데 이구 또한 한국으로 건너와 어머니를 돕고 조선왕실의 마지막 황손으로서 일도 하고 사업도 하지만 같이 온 줄리아 , 그녀 또한 옆에서 열심히 보필하지만 늘 차가운 시어머니 마사코와, 곱지 않은 시선의 사람들로 인해 마음고생을 한다. 그러나 항상 밝은 얼굴로 그들을 대하지만 그녀의 외로움은 더해 가게 되는데...

대한제국의 영친왕과 마사코, 그리고 적통 직계손 이구와 줄리아의 이야기가 가슴아프게 구성된다. 가슴아픈나라의 현실에 자신 스스로는 무얼하지도 못하는 허수아비같은 존재로 살아가고 있는 이은, 영친왕의 마음도 더 아프지만, 일본인으로서 남편의 나라에 대한 아픔과 그 나라에 대한 걱정과 근심으로 살아가는 영친왕을 바라보며 살아가는 마사코가 대비대면서 나라를 떠나 한 인간으로서 얼마나 외롭고 힘들었을지 고스란히 전해져 오는것 같다. 또한 그 아들 이구와 줄리아까지, 그 시절 파란눈의 외국인 며느리를 맞이한다는 건 꿈에도, 특히 왕실에서는 없었을 일인데 그 시선들과 말들을 고스란히 가슴에 안고 살아갔을 줄리아까지, 서로 사랑하지만 타인에 의해서 점점 힘들어하고 멀어져만 가는 그들의 이야기까지, 허물뿐인 자리이지만 그들의 무게는 힘들고 아팠을거 같음을 소설에서 느낄수 있었다. 실제로도 그들은 얼마나 힘들고 외로운 여정을 했을지, 가슴아픈 역사속에서 그들은 그 고통을 어떻게 견녀 냈을지 상상도 못할것만 같다.

나라의 어두운 현실속에서 살아온 영친왕과 마사코, 그들의 아들 이구와 줄리아까지 그들의 아픈 역사와 사랑이 고스란히 전해지는 소설이다. 이제는 한 인간으로서 무거운 짐을 덜어버리고 저 세상에서 행복하게 사시지 않을까 아니면 여전히 나라를 걱정하시며 내려다 보지 않을까 심히 걱정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